-
[ 목차 ]
안녕하세요. 둥타니월드입니다.
오늘은 여권 파워 순위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어렴풋이 전세계 2위 정도였다고 기사에서 접했는데,
이번 기회에 제대로 한 번 알아봐야겠네요^^
그럼 출발해볼까요~?
1. 여권에도 ‘파워’가 있다?
여권은 단순히 여행을 위한 신분증이 아닙니다. 얼마나 많은 나라를 ‘비자 없이’ 혹은 ‘도착비자’로 입국할 수 있는지가 각 여권의 '힘'을 나타내는 기준이 되며, 이를 우리는 흔히 **여권 파워(Passport Power)**라고 부릅니다.
2025년에도 세계 각국의 여권은 정치적, 외교적 위상, 경제력, 외교 정책 등에 따라 ‘서열’이 정해지고 있으며,
이 순위는 매년 전 세계인의 관심을 모으는 지표 중 하나입니다.
2. 여권 파워 순위는 누가 평가하나?
대표적으로 다음과 같은 기관에서 여권 파워를 공식적으로 평가하고 발표합니다.
1. Henley & Partners Passport Index
- 기준: 국제항공운송협회(IATA)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비자 없이 혹은 도착비자(on arrival)로 입국 가능한 국가 수를 합산하여 여권의 '이동 자유도'를 평가합니다.
- 특징: 가장 권위 있는 여권 순위 발표 기관 중 하나이며, 매 분기 업데이트가 이루어집니다.
2. Arton Capital’s Passport Index
- 기준: 비자 면제국 수 + 전자비자(eTA), 도착비자 등을 포함하여 점수를 매깁니다.
- 특징: 디자인이 시각적으로 화려하며, 실시간 업데이트 기능이 있어 시의성 높은 정보를 제공합니다.
두 기관 모두 국제적으로 공신력 있는 기업으로 인정받고 있으며,
이번 글에서는 Henley Passport Index 2025년 1분기 기준 자료를 바탕으로 정리하겠습니다.
✈️ Henley Passport Index 한국어 자료 바로보기
3. 2025년 여권 파워 TOP 30 순위
순위 | 국가 | 무비자/도착비자 입국 가능 국가 수 |
1 | 일본 | 194개국 |
싱가포르 | 194개국 | |
프랑스 | 194개국 | |
2 | 독일 | 193개국 |
스페인 | 193개국 | |
이탈리아 | 193개국 | |
3 | 대한민국 | 192개국 |
핀란드 | 192개국 | |
스웨덴 | 192개국 | |
4 | 오스트리아 | 191개국 |
덴마크 | 191개국 | |
아일랜드 | 191개국 | |
5 | 포르투갈 | 190개국 |
네덜란드 | 190개국 | |
룩셈부르크 | 190개국 | |
6 | 영국 | 189개국 |
벨기에 | 189개국 | |
노르웨이 | 189개국 | |
7 | 스위스 | 188개국 |
미국 | 188개국 | |
뉴질랜드 | 188개국 | |
8 | 캐나다 | 187개국 |
9 | 호주 | 186개국 |
10 | 체코 | 185개국 |
11 | 헝가리 | 183개국 |
12 | 슬로바키아 | 182개국 |
13 | 폴란드 | 181개국 |
14 | 리투아니아 | 180개국 |
라트비아 | 180개국 | |
15 | 에스토니아 | 179개국 |
16 | 슬로베니아 | 178개국 |
4. 주요 국가별 여권 파워 요약
🇯🇵 🇸🇬 🇫🇷 공동 1위 – 일본, 싱가포르, 프랑스 (194개국)
- 일본과 싱가포르는 아시아권 국가 중 유일하게 1위에 올라 있으며, 전 세계 거의 모든 국가에 무비자 입국이 가능합니다.
- 프랑스는 유럽 국가 중에서도 가장 넓은 외교적 네트워크를 가지고 있어 무비자 협정이 풍부합니다.
🇩🇪 🇪🇸 🇮🇹 공동 2위 – 독일, 스페인, 이탈리아 (193개국)
- 전통적으로 유럽연합의 핵심 국가로서, 각국과의 외교 협력에 매우 적극적이며, 안정적인 국제 신뢰도를 기반으로 높은 순위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 공동 3위 – 대한민국 (192개국)
- 한국은 아시아권에서 두 번째로 높은 순위를 기록하며, G20 국가 중에서도 높은 외교적 신뢰도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 2020년대 초반 코로나 팬데믹 시기에도 국격이 상승하면서, 많은 국가와의 비자 면제 협정 체결이 활발히 이루어졌습니다.
🇺🇸 공동 7위 – 미국 (188개국)
- 미국은 여전히 강력한 여권을 유지하고 있으나, 정치적 요인(이민 정책, 비자 제한 등)으로 인해 예전만큼 높은 순위는 유지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 중국 – 64위 (84개국)
- 중국은 경제 대국임에도 불구하고, 외교적 긴장과 비자 협정이 제한적이어서 비교적 낮은 순위에 머물러 있습니다.
- 특히 북미 및 유럽 국가들과의 무비자 입국이 제한되어 있어 전체 순위를 끌어내리고 있습니다.
🇰🇷 대한민국 여권의 위상
한국은 2025년 기준 전 세계 3위를 차지하며, 역사상 가장 강력한 여권 중 하나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한국 여권 소지자는 유럽, 북미, 동남아 대부분의 국가를 비자 없이 여행할 수 있으며, 이는 다음과 같은 요인에 기반합니다:
- 안정적인 경제력과 높은 국제 신뢰도
- 다자간 비자 면제 협정(EU, ASEAN 등)
- 글로벌 백신·의료 인프라에 대한 신뢰
이로 인해 대한민국 국민은 여행, 비즈니스, 유학 등 다양한 목적으로 전 세계 어디든 비교적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는 특권을 누리고 있습니다.
5. 여권 파워가 중요한 이유
1. 해외여행의 자유
비자가 필요 없는 국가는 여행 준비의 번거로움을 줄이고, 비용도 아낄 수 있습니다.
2. 비즈니스 기회 확대
여권 파워가 높은 국가는 국제 출장, 전시회, 무역 협상 등의 기회가 많아집니다.
3. 긴급 상황 대응
정치적 불안이나 자연재해 발생 시, 빠르게 출국하거나 제3국으로 이동할 수 있는 능력은 생명과도 직결될 수 있습니다.
4. 국가 이미지의 상징
여권의 파워는 곧 ‘국가의 국제 위상’을 반영하며, 자국민의 ‘글로벌 시민권’ 수준을 보여주는 중요한 척도입니다.
ex_여권 파워 하락 국가 예시
- 아프가니스탄 (112위, 27개국 입국 가능): 지속되는 내전과 국제사회와의 단절로 인해 여권 가치가 가장 낮은 수준에 머무르고 있습니다.
- 시리아, 이라크, 예멘 등 중동 지역도 전쟁 및 정치 불안으로 인해 비자 면제 협정 수가 매우 적습니다.
6. 여권 파워 높이는 방법은?
국가 차원에서 여권 파워를 높이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정책이 필요합니다:
- 외교 강화: 다양한 국가와의 협약 체결 확대
- 국제 신뢰도 제고: 인권, 경제, 환경 등에서 모범적인 국가 운영
- 범죄율 낮추기: 여권 소지자에 대한 신뢰도를 높이는 데 중요
- 국제기구 가입: UN, WHO, OECD 등 주요 국제기구 활동을 통한 외교 영향력 강화
요약
여권 파워 순위는 단순한 여행 편의성 이상의 의미를 지닙니다.
그것은 곧 국가의 국제 신뢰도, 외교적 영향력, 시민의 자유를 보여주는 '글로벌 지표'라 할 수 있습니다.
대한민국은 여권 파워 세계 3위를 기록하며, 국민의 글로벌 이동 자유를 최대치로 누리고 있습니다.
이제는 여권을 단순한 신분증이 아닌, ‘국제 사회에서의 나의 이동권 보장서’로 바라봐야 할 때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