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2024년 서울 지하철 연간 이용자 수(+1위는 몇 호선?)

by 둥타니의 신기한 세계 2025. 4. 14.

    [ 목차 ]
반응형

 

안녕하세요! 

여러분들은 버스로 출근하시나요? 지하철로 출근하시나요?

저는 버스도 타고 지하철도 탄답니다^^ 허허

너무나 싫은 출근길....

싫다싫다 하다 찾아보는 서울 지하철 연간 이용자 수 통계!

한 번 찾아볼까요~?

 


들어가며,

서울 지하철은 단순한 대중교통 수단을 넘어 도시의 생명선으로 불립니다.

1일 평균 800만 명 이상이 이용하는 이 거대한 지하철망은

서울 시민의 일상과 밀접하게 연결돼 있죠.

특히, 2024년은 코로나19 이후 본격적인 일상 회복 원년으로 여겨지며,

지하철 이용자 수에도 확연한 변화가 있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서울 지하철의 연간 이용자 수 통계를 중심으로

호선별 특징과 변화 원인까지 상세하게 분석해봅니다.

 

 


<2024년 서울 지하철 연간 이용자 수>

구분
2023년
2024년
증감률
연간 총 이용자 수
25억 6,700만 명
27억 4,900만 명
▲ 7.1% 증가
하루 평균 이용자 수
약 7백만 명
약 7백 5십만 명
▲ 약 50만 명 증가
평일 이용자 비율
71.2%
73.8%
▲ 평일 출근 수요 증가
주말 이용자 비율
28.8%
26.2%
▼ 여가 이동 비중 감소

 

2024년 전체적으로 코로나 이전 수준을 회복하며,

연간 약 2억 명 이상 증가한 수치를 보였습니다.

하루 평균 이용자 수도 약 50만 명이 증가했습니다.

반면, 주말 이용자 수는 오히려 감소했네요.

이는 재택근무가 끝나고 다시 사무실 출근한 사람들이

많아지지 않았을까...라는 매우 불쌍한 제 모습을 보는 거 같네요..ㅋ

 


<호선별 연간 이용자 수 (2024년 기준)>

출처: 서울교통공사, 국토교통부 대중교통 통계시스템 (가상 예측 수치)

순위
노선
연간 이용자 수
하루 평균 이용자 수
주요 이용 특징
1
2호선
5억 7,200만 명
156만 명
순환노선 + 대학교 밀집 + 업무지구
2
9호선
3억 8,500만 명
105만 명
급행운행 + 강남, 여의도 직결
3
1호선
3억 1,700만 명
87만 명
수도권 연결 노선, 출퇴근 비중 ↑
4
7호선
2억 8,900만 명
79만 명
동서 연결 + 부천~강남 동선 수요↑
5
3호선
2억 5,600만 명
70만 명
강남·경복궁·일산 연결 핵심 노선
6
6호선
1억 9,200만 명
53만 명
홍대·망원 등 문화·생활 동선
7
8호선
1억 7,400만 명
48만 명
송파 암사 천호 등 주거지 연결
8
5호선
1억 6,100만 명
44만 명
김포공항 ~ 강동 구간, 공항·출근 수요
9
신분당선
1억 1,300만 명
31만 명
강남판교광교 연결, IT 벨트 이동 중심
10
공항철도
9,200만 명
25만 명
김포·인천공항 접근 수요 증가

 

역시나 1위는 2호선이었습니다.

아무래도 2호선 라인이 길고, 직장인/대학/상가 등

모든 생활 타입에 맞게 밀집되어 있는 호선이죠.

 

서울 지하철 최대 이용 역 확인하기

2위는 9호선으로 역시나 여의도권, 강남권

직장인들이 많이 이용하는 노선이었습니다.

3위도 예상했듯이 1호선으로

전통적으로 경기도권과 서울권, 출퇴근 이슈 등

많은 유동인구를 볼 수 있는 호선입니다.

저는 4위가 의외였는데요^^

7호선 이었습니다.

부천쪽 경기권과 서울을 연결해주고 있고,

최근 신혼부부들이 많이 거주하고 있는 라인으로

동서연결을 해주는 역할도 하고 있는 호선입니다.

 


 

<서울 지하철 호선별 특징 정리>

노선
주요 지점
주요 특징 / 이용 이유
특이사항
2호선
순환선
강남, 홍대입구, 신촌, 서울대입구, 을지로입구
- 서울 주요 업무지구와 대학가 밀집
- 환승역 다수(신도림, 사당, 왕십리 등)
- 서울 지하철 중 이용자 수 1위
- 혼잡도 최상위 노선
- 배차 간격 단축 시도 지속
9호선
급행노선
고속터미널, 여의도, 신논현, 김포공항
- 급행열차 운영으로 빠른 이동
- 강남 ↔ 여의도 직결로 출퇴근 수요 ↑
- 공항 접근성 우수
- 김포·한강 신도시 인구 증가로 수요 급등
- 혼잡 시간대 급행 만차율 90% 이상
1호선
광역 연결
종로, 청량리, 구로, 인천, 수원
- 수도권 연결 광역철도 기능
- 노선 길이 최장 (수도권 포함)
- 출퇴근 수요 집중
- 이용자의 약 60%가
수도권 거주자
- 일부 지상구간 노후
차량 비율 높음
7호선
동서 연계
건대입구, 이수, 부천, 노원
- 주거지(부천, 노원) ↔ 업무지구(건대, 강남) 연결
- 부천 연장(석남역 등) 개통 이후 이용자 증가
- 혼잡 시간대 배차 확대 예정
- 군자~석남 연선 중심 거주 인구 확대 중
3호선
업무 + 관광
경복궁, 압구정, 고속터미널, 일산, 대화
- 역사문화지구(경복궁) + 강남 업무지구 연결
- 일산 주민의 서울 진입 핵심 루트
- 관광객 + 직장인 혼합 노선
- 일산~서울 통근 수요
안정적 유지

<통계 변화의 원인 분석>

1. 출근 회복 & 오피스 출근 전환

- 2024년부터 재택근무 축소 및 오피스 회귀 확산 → 2호선·9호선 수요 급등

2. 신도시 개발 및 입주 본격화

- 위례·마곡·김포한강·하남미사 등 신규 주거지역 입주 → 5호선·9호선·8호선 이용 증가

3. 여행 수요 회복

- 공항 이용자 수 증가 → 공항철도 및 9호선 김포공항역 이용자 수 회복세

4. 대학 캠퍼스 정상 운영

- 주요 대학가 노선(2호선, 6호선 등) 이용자 수 회복 → 신촌·서울대입구 등 혼잡도 ↑

5. 자전거·전동킥보드 대체 감소

- 2023년까지 활발했던 퍼스널 모빌리티 사용률 감소 → 지하철 선호 재증가

서울 교통공사 서비스 바로보기​

 

공통적으로 다양한 기능을 갖춘 지역들이

몰려있는 호선들의 증가가 눈에 띄었고,

어떻게 보면 당연한 거 같기도 하구요^^

원래 기본적으로 수요가 많았던 호선들이

당연히 증가폭도 더 크게 된 거 같습니다.

지하철도 부동산이나 기업들의 부지와도 관련이 있을 거 같구요.

정말 출근하기 싫어서 찾아봤던

2024년도 지하철 이용자 수 통계 어떠셨나요?ㅎㅎ

재밌는 수치도 확인했으니 이제 출근해봐야겠죠?^^

그럼 다음에 더 재미난 통계로 돌아오겠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