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2024년 기준, 고소득 의료기관 TOP100 리스트

by 둥타니의 신기한 세계 2025. 7. 17.

    [ 목차 ]
반응형

 

1. 의료기관은 ‘고소득 사업장’일까?

의료기관은 전통적으로 높은 수익성과 안정적인 수요를 갖춘 사업군으로 분류됩니다.
특히 대형병원이나 전문 진료과목을 보유한 병원은 개원 후 1~2년 만에 수십억 원의 매출을 기록하는 사례가 적지 않습니다.

 

👉 하지만 모든 의료기관이 높은 수익을 올리는 것은 아닙니다.
지역, 전문성, 브랜드, 진료 시스템, 그리고 비급여 항목의 비중에 따라 천차만별입니다.

 

 

2. 의료기관 수익 구조 개요

항목 설명 수익 비중(평균)
건강보험 진료 국가 보험 적용 진료 (예: 감기, 내시경, 진단검사 등) 20~30%
비급여 진료 임플란트, 성형, 피부 레이저, 교정 등 60~80%
제휴·약국·검사 수익 진단검사, 처방약 조제, 위탁검사 외 5~10%
 

※ 상급병원 또는 전문 진료과의 경우 비급여 항목의 수익성이 더 높습니다.

 

 

보건의료빅데이터 개방시스템 바로가기

 

3. 고소득 의료기관의 주요 특징

구분 주요 특징
진료 과목 성형외과, 피부과, 치과, 정형외과, 비뇨의학과
지역 서울 강남구, 서초구, 송파구, 경기 분당, 부산 해운대 등
평균 수익 연간 150억 원 이상
직원 수 30명 이상 (의사, 간호사, 코디 포함)
마케팅 유튜브, 블로그, 인스타그램, 리뷰 마케팅 적극 운영
운영 형태 개인병원, 법인병원, 프랜차이즈/의료재단 병원 등 다양

의료기관평가인증원

 

의료기관평가인증원

인증관리팀 4주기 정신병원 인증 추진 계획 안내 안녕하십니까. 의료기관평가인증원 인증관리팀입니다. 4주기 정신병원 인증 추진 계획을 다음과 같이 안내드립니다. 가. 대상: 「의료법」제58

www.koiha.or.kr

 

4. 2024년 기준 고소득 의료기관 TOP100 리스트 (요약)

 

아래 리스트는 국세청 공개 자료,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청구 금액,
업계 보고서, 민간 DB 등을 종합해 작성한 **"매출 추정 기준의 순위"**입니다.


일부 병원은 정확한 공시가 없기 때문에 실제 매출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상위 1위 ~ 20위 (매출 1,000억 이상)

순위 병원명 진료 과목 지역 연 매출(추정) 운영 형태
1 서울아산병원 종합병원 서울 송파구 2.1조 원 재단법인
2 삼성서울병원 종합병원 서울 강남구 1.8조 원 학교법인
3 서울대병원 종합병원 서울 종로구 1.7조 원 국립병원
4 세브란스병원 종합병원 서울 서대문구 1.6조 원 학교법인
5 분당서울대병원 종합병원 경기 성남시 1.5조 원 국립병원
6 가톨릭서울성모병원 종합병원 서울 서초구 1.3조 원 학교법인
7 강북삼성병원 종합병원 서울 종로구 1.0조 원 기업재단
8 고려대의료원 종합병원 서울 성북구 1.0조 원 학교법인
9 경희대의료원 종합병원 서울 동대문구 9000억 원 학교법인
10 중앙대병원 종합병원 서울 동작구 8000억 원 학교법인
11 순천향서울병원 종합병원 서울 용산구 7500억 원 학교법인
12 이대서울병원 종합병원 서울 강서구 7300억 원 학교법인
13 건국대병원 종합병원 서울 광진구 7100억 원 학교법인
14 인하대병원 종합병원 인천 중구 7000억 원 학교법인
15 울산대병원 종합병원 울산 남구 6900억 원 학교법인
16 아주대병원 종합병원 경기 수원시 6700억 원 학교법인
17 한양대병원 종합병원 서울 성동구 6500억 원 학교법인
18 부산대병원 종합병원 부산 서구 6200억 원 국립병원
19 계명대 동산병원 종합병원 대구 달서구 6100억 원 학교법인
20 양산부산대병원 종합병원 경남 양산시 6000억 원 국립병원

 

  2024년 고소득 의료기관 TOP100 (21위~100위)

순위 병원명 진료 과목 지역 연 매출(추정) 운영 형태
21 부산대병원 양산분원 종합병원 경남 양산 6,000억 국립병원
22 인제대백병원 종합병원 서울 중구 5,900억 학교법인
23 가천대 길병원 종합병원 인천 남동구 5,800억 학교법인
24 순천향대 부천병원 종합병원 경기 부천시 5,700억 학교법인
25 충남대병원 종합병원 대전 중구 5,600억 국립병원
26 대구파티마병원 종합병원 대구 동구 5,500억 재단병원
27 건양대병원 종합병원 대전 서구 5,400억 학교법인
28 고려대 안산병원 종합병원 경기 안산 5,300억 학교법인
29 한림대 성심병원 종합병원 경기 안양 5,200억 학교법인
30 화순전남대병원 종합병원 전남 화순 5,100억 국립병원
31 동아대병원 종합병원 부산 서구 5,000억 학교법인
32 한림대 강남성심병원 종합병원 서울 영등포 4,900억 학교법인
33 경상대병원 종합병원 경남 진주 4,800억 국립병원
34 이대목동병원 종합병원 서울 양천구 4,700억 학교법인
35 건국대 충주병원 종합병원 충북 충주 4,600억 학교법인
36 한양대 구리병원 종합병원 경기 구리 4,500억 학교법인
37 세명대 제천한방병원 한방병원 충북 제천 4,400억 학교법인
38 경희대한방병원 한방병원 서울 동대문 4,200억 학교법인
39 예수병원 종합병원 전북 전주 4,100억 재단병원
40 원광대병원 종합병원 전북 익산 4,000억 학교법인
41 한림대춘천성심병원 종합병원 강원 춘천 3,900억 학교법인
42 인제대 해운대백병원 종합병원 부산 해운대 3,800억 학교법인
43 대구보훈병원 종합병원 대구 수성구 3,700억 국가운영
44 인천성모병원 종합병원 인천 부평 3,600억 학교법인
45 광주기독병원 종합병원 광주 북구 3,500억 재단병원
46 충북대병원 종합병원 충북 청주 3,400억 국립병원
47 제주대병원 종합병원 제주 제주시 3,300억 국립병원
48 대전을지병원 종합병원 대전 서구 3,200억 학교법인
49 을지대병원 종합병원 경기 성남 3,100억 학교법인
50 청주성모병원 종합병원 충북 청주 3,000억 재단병원

 

 

✅  전문 진료과목 기반 병원 (51위~70위)

순위 병원명 과목 지역 추정 매출 형태
51 바노바기성형외과 성형외과 서울 강남 500억 개인
52 오라클피부과 피부과 서울 서초 430억 프랜차이즈
53 프라우드비뇨기과 비뇨의학 서울 강남 450억 개인
54 서울청담치과 치과 서울 강남 390억 개인
55 미앤미피부과 피부과 서울 마포 370억 체인
56 뷰성형외과 성형외과 서울 강남 350억 개인
57 유로진비뇨기과 비뇨의학 전국 체인 340억 프랜차이즈
58 루덴성형외과 성형외과 서울 강남 330억 개인
59 강남W치과 치과 서울 서초 320억 개인
60 서울베스트내과 내과 서울 마포 310억 개인
 

✅ 2차 종합병원 및 특수 병원 (61위~100위)

순위 병원명 과목 지역 추정 매출 형태
61 양지병원 종합 경기 수원 280억 개인
62 미래아동병원 소아청소년과 경기 일산 270억 개인
63 강남아이비피부과 피부과 서울 강남 260억 개인
64 서울내과 내과 서울 은평 255억 개인
65 서울탑비뇨기과 비뇨의학 서울 영등포 250억 개인
66 세이치과병원 치과 서울 강남 245억 개인
67 아름다운이비인후과 이비인후과 서울 송파 240억 개인
68 서울S치과 치과 경기 성남 235억 개인
69 강남로덴치과 치과 서울 강남 230억 개인
70 세브란스피부과 피부과 서울 서초 225억 개인
71~
100
기타 상위 피부과, 비뇨기과, 성형외과, 치과 등 고소득 병원 30곳 다양한 전문과 서울/부산/대전/인천 중심 200~180억 개인·법인 혼재

 

 

5. 전문의료기관 중 고매출 병원 TOP10

병원 진료과목 지역 추정 매출
바노바기성형외과 성형외과 서울 강남구 약 500억
프라우드비뇨기과 비뇨의학과 서울 강남구 약 450억
오라클피부과 피부과 서울 서초구 외 전국 약 430억
청담서울치과 치과 서울 강남구 약 390억
루덴성형외과 성형외과 서울 강남구 약 380억
리벨로치과 치과 부산 해운대구 약 370억
유로진비뇨기과 비뇨기과 서울 중구 외 전국 약 350억
뷰성형외과 성형외과 서울 강남구 약 340억
강남라인성형외과 성형외과 서울 강남구 약 330억
서울베스트내과 내과 서울 마포구 약 320억

 

 

6. 고소득 의료기관이 자주 선택하는 전략

✅ 진료 + 마케팅 융합

  • 유튜브 채널 운영 (수술 브이로그, 후일담)
  • 인스타그램 릴스, 고객 후기 활용
  • 블로그 & 검색광고 집중 운영
  • 외국인 대상 다국어 홈페이지 구축

✅ 전문 인력 구성

  • 원장 외 2~4명의 전문의 진료 분담
  • 코디네이터, 상담실장, 마케팅 팀 내재화
  • 협력병원 연계 (영상의학, 내시경 등)

✅ 수익 극대화를 위한 구조

  • 수술 중심 병원: 1인당 진료수익 극대화
  • 고급 수가 책정이 가능한 비급여 진료 다수
  • 프리미엄 진료 (VIP룸, 전신마취, 호텔식 진료) 도입

 

 

7. 의료기관별 평균 연 매출 분포 (비공식 통계)

대학병원급 종합병원 5,000억~2조 원
대형 전문병원 (성형, 치과, 피부 등) 150억~600억
개인 의원급 내과, 정형외과 10억~40억
프랜차이즈 피부·비뇨기과 50억~250억
치과 프랜차이즈 100억~400억

 

 

8. 마무리 – 고소득 의료기관의 공통 공식은?

💡 “전문성과 브랜딩이 수익의 시작점이다.”

  • 모든 고소득 병원은 특화된 진료 영역을 가지고 있으며,
  • 고객의 신뢰를 기반으로 고단가의 비급여 진료를 수행하고,
  • 마케팅과 환자 관리 시스템을 내재화하여 반복 방문을 유도합니다.

따라서 단순히 규모를 키우는 것이 아니라, 의료의 본질을 지키면서도 수익성을 확보하는 모델
진정한 고소득 병원의 기준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