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 고령자 맞춤형 특화주택 공급 신청방법 자격요건
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청년 고령자 맞춤형 특화주택 공급 신청방법 자격요건

by 둥타니의 신기한 세계 2025. 8. 16.

    [ 목차 ]
반응형

 

 

안녕하세요.

국토교통부가 2025년 상반기 특화주택 공모사업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올해 선정된 사업은 전국 14곳, 총 1786가구에 달하며,

청년·고령자·근로자 등 다양한 수요층을 대상으로 맞춤형 주거와 생활 지원 시설이 결합된 것이 특징입니다.

이번 공급에는 ▲고령자복지주택 ▲청년특화주택 ▲일자리연계형 지원주택 ▲지역제안형 특화주택 등 네 가지 유형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1. 특화주택이란?

특화주택은 특정 수요층의 주거 안정과 생활 편의를 동시에 제공하는 공공임대주택입니다.
단순 거주 공간을 넘어, 사회복지시설·공유공간·창업지원시설 등 다양한 부가 시설을 결합하여 입주자의 삶의 질을 높이는 것이 특징입니다.

 

주요 대상

  • 청년: 저렴한 임대료, 휴게·공유 공간 제공
  • 고령자: 안전 편의시설 + 복지·건강 관리
  • 근로자: 직주근접 주거 + 업무 지원 시설

 

2. 2025년 특화주택 공급 개요

2025년 상반기 특화주택 공급 현황
유형 가구 수 사업지 수 주요 지역
지역제안형 1,083가구 4곳 부천·동두천·포천·삼척
고령자복지주택 368가구 4곳 울산·부천·제주
청년특화주택 176가구 3곳 부안·고창·울산
일자리연계형 159가구 3곳 광명·울산
총계 1,786가구 14곳 전국

 

 

3. 유형별 세부 내용

① 지역제안형 특화주택 – 1,083가구

 

지자체가 지역 여건에 맞는 입주 조건과 시설을 자유롭게 설계할 수 있는 유형으로, 이번 공모에서 가장 많은 물량이 선정되었습니다.

  • 부천시: 부천대장 3기 신도시 내, 부모·자녀 세대가 함께 입주해 돌봄이 가능한 741가구 규모. 공공임대 최초로 중산층까지 입주 대상 확대.
  • 동두천시: 지행역 인근, 청년·신혼부부 대상 210가구. 역세권 입지 활용.
  • 삼척시: 탄광근로자·대학생을 위한 100가구, 멘토링·심리상담 등 교류 프로그램 운영.
  • 포천시: 청년 군무원 주거 지원 32가구, 장거리 출퇴근 해소.

 

② 고령자복지주택 – 368가구

 

65세 이상 무주택 고령자를 위한 맞춤형 주택으로, 안전손잡이·무장애 설계와 함께 복지시설이 결합됩니다.

  • 울산시: 2곳, 214가구
  • 부천시: 100가구
  • 제주 서귀포시: 54가구

 

③ 청년특화주택 – 176가구

 

청년층 주거 안정과 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한 주택. 계절창고·공유주방·공유오피스 등 청년 선호시설 포함.

  • 울산시 울주군: 울산대 인근, 36가구
  • 전북 고창군: 청년 인구 유입, 40가구
  • 전북 부안군: 100가구, 지역 정착 유도

 

④ 일자리연계형 지원주택 – 159가구

 

근로자의 직주근접성을 높이고, 창업·업무 지원 공간을 제공하는 주택.

  • 광명시: 광명시흥 산업단지 근로자 지원, 123가구
  • 울산시 울주군: 온산국가산단 근로자 주거 지원, 36가구

 

4. 정책 의의와 기대 효과

  1. 주거복지 강화
    – 주거 약자(고령자·청년·근로자) 맞춤형 공급 확대
  2. 지역경제 활성화
    – 청년·근로자 정착을 통한 소비·고용 확대
  3. 인구 유출 방지
    – 지방 청년층 유입, 고령자 지역 생활 안정
  4. 주거+서비스 결합 모델 확산
    – 단순 임대에서 생활 지원형 공공임대로 전환

 

5. 향후 추진 계획

국토교통부는 선정 사업에 대해 주택건설사업계획 승인 지원과 함께,
사업 설명회·맞춤형 컨설팅·홍보를 강화해 전국적으로 특화주택 사업을 확산할 방침입니다.

 

 

6. 신청 방법 (2025년 기준)

특화주택은 LH(한국토지주택공사) 또는 해당 지역 지방공사에서 모집 공고를 통해 신청할 수 있습니다.
공급 시기는 사업별로 상이하며, 공고는 보통 입주 6~12개월 전 발표됩니다.

 

신청 절차

  1. 모집 공고 확인
    • LH 청약센터(https://apply.lh.or.kr)
    • 각 시·도 주택공사 홈페이지
    • 지자체 공고(홈페이지·SNS)
  2. 온라인 청약 접수
    • LH·지방공사 청약 시스템 로그인 후 전자신청
  3. 서류 제출
    • 신청서 접수 후, 자격 증빙 서류 제출
  4. 자격 심사
    • 소득·자산·무주택 여부·대상별 요건 확인
  5. 당첨자 발표
    • 심사 완료 후 홈페이지 공지 및 개별 안내
  6. 계약 및 입주
    • 계약금 납부 → 계약 체결 → 지정 입주일에 입주

TIP: 신청 전, 반드시 공고문에 기재된 모집 세부 조건을 확인해야 하며,
1순위·2순위 등 공급 우선순위 제도를 숙지하면 당첨 가능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7. 자격 요건

특화주택 유형별로 입주 대상이 다르므로, 본인 조건에 맞는 유형을 선택해야 합니다.

고령자복지주택 만 65세 이상 무주택 세대구성원, 소득·자산 기준 충족, 해당 지역 거주자 우선
청년특화주택 만 19~39세 청년, 대학(원)생·사회초년생 포함, 무주택, 소득 기준 충족
일자리연계형 해당 산업단지·기업 근로자, 창업자, 직주근접 필요자, 무주택
지역제안형 지자체별 모집공고에서 별도 자격 규정, 지역 거주 또는 근무자 우대

 

공통 조건

  • 무주택 세대구성원(본인 및 세대원 모두 주택 미소유)
  • 소득 기준: 도시근로자 월평균 소득 100~150% 이하(유형별 상이)
  • 자산 기준: 자동차·금융자산 등 일정 금액 이하 (공고별 확인)

https://www.korea.kr/news/policyNewsView.do?newsId=148947229&utm_source=dable

 

전국 14곳에 청년·고령자 맞춤형 '특화주택' 1786가구 공급

국토교통부는 올해 상반기 특화주택 공모사업을 통해 전국 14곳에 총 1786가구의 특화주택을 공급하기로 했다. 국토부는 올해 4월부터 2개월간 특화주택 공모사업을 진행해 고령자복지 - 정책브

www.korea.kr

 

 

8. 신청 시 유의사항

  • 중복 청약 제한: 같은 시기에 LH 또는 지방공사 다른 주택에 중복 신청 불가
  • 거짓 신청 시 불이익: 자격 미달·허위서류 제출 시 당첨 취소 및 2~3년간 신청 제한
  • 우선 공급 대상: 국가유공자·장애인·한부모가족 등은 가점 또는 우선 배정 가능

 


 

이번 14곳, 1,786가구 규모의 특화주택 공급은
단순한 공공임대 주택 공급을 넘어 지역 맞춤형 주거복지 모델을 확산하는 계기가 될 전망입니다.

 

특히, 고령자복지·청년특화·일자리연계형·지역제안형이라는 네 가지 유형이
다양한 계층의 주거 수요를 충족시키고,
지역 인구 유지와 경제 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