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목차 ]
반응형
안녕하세요.
오늘은 지투지바이오를 대상으로 바이오텍 분석의 표준 틀을 적용해 정리합니다.
바이오 기업은 매출보다는 파이프라인의 단계·데이터 질·규제 이벤트가 기업가치에 크게 작용합니다.
따라서 본 글에서는 R&D 현황과 상업화 가능성, 재무 안전성, 상장 관련 체크포인트를 중심으로 살펴봅니다.
1. 회사 한눈에 보기
지투지바이오 회사 스냅샷 (공시 확인 필요) | |||
---|---|---|---|
항목 | 내용 | 출처/확인 경로 | 비고 |
법인명/브랜드 | 지투지바이오 (영문명 확인 필요) | DART 사업보고서 | 정식 표기 확인 |
설립/본사 | 연도·소재지 공시 확인 | DART·회사 홈페이지 | - |
핵심 분야 | 신약/바이오 소재/플랫폼(세부는 파이프라인 표 참조) | IR·보도자료 | 적응증·기전 명시 |
상장 여부 | 코스닥(상장/심사중/예정 여부 공시 확인) | KRX KIND·DART | 상장 섹션 참조 |
주요 주주 | 최대주주/특수관계인/VC 등 | 사업보고서 | 락업 조건 확인 |
현금성 자산 | 최근 반기/분기 기준 (₩) | 재무제표 | 런웨이 산정 |
직원/연구인력 | 총원/석박사 비중 | 사업보고서 | R&D 역량 지표 |
2. 사업모델 & 수익화 구조
바이오 기업 수익화는 (1) 기술이전(Upfront+Milestone+Royalty), (2) 직접개발·허가 후 판매, (3) CMO/CDMO/서비스, (4) 바이오 소재/진단키트 매출로 구분됩니다.
지투지바이오 잠재 수익원 맵 | |||
---|---|---|---|
카테고리 | 구체 예시 | 현황(가정/확인필요) | 핵심 리스크 |
기술이전(L/O) | 글로벌 제약/바이오와 라이선스 아웃 | 협의/체결 여부 공시 확인 | 데이터 질·계약조건 |
직접개발/판매 | 국내 허가 후 코프로/자체 판매 | 임상 단계·허가 일정 확인 | 허가 리스크·마케팅 |
서비스/플랫폼 | CDMO·분석·스캐폴드/벡터 공급 | 고객사 확보 확인 | 설비 CAPEX·가동률 |
기타 | 정부과제·로열티·샘플 판매 | 과제 채택/정산 확인 | 단가/기간 |
3. 파이프라인(예시 포맷) & 임상/규제 일정
실제 파이프라인명, 적응증, 단계는 회사 IR자료를 반드시 참고해 갱신하세요.
파이프라인 현황 (템플릿) | |||||
---|---|---|---|---|---|
코드명/프로그램 | 적응증 | 기전/플랫폼 | 단계 | 다음 마일스톤 | 파트너 |
G2G-001 | 예: 면역항암 | 예: 이중특이 항체/세포치료 | 전임상/임상1상 | IND/탑라인 데이터 | - |
G2G-002 | 예: 희귀질환 | 예: 유전자/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 탐색→전임상 | GLP 독성/파일링 | - |
플랫폼A | 범용 | 예: 전달체/스캐폴드 | PoC | PoC 업데이트 | 공동연구 타깃 |
핵심 체크포인트
- △ 임상 설계(엔드포인트·표본수) △ 안전성 시그널 △ 경쟁 약물 대비 차별성(효능/내약성/투여 편의)
- △ 기술이전 타이밍(전임상 Late/임상1상 안전성/임상2상 효능) △ CMC/제조 스케일업 준비도
4. 시장(적응증) 규모 & 경쟁 환경 프레임
- TAM/SAM/SOM 가정: 글로벌 치료제 시장, 해당 기전 타깃 시장, 실제 침투 가능 범위
- 경쟁 약물: 글로벌 빅파마/바이오텍 파이프라인 단계 비교(임상2/3상 vs 당사 단계 격차)
- 차별화 요소: 투여 경로, 안전성 프로파일, 반응률, 바이오마커 전략, 병용 가능성
시장/경쟁 비교 템플릿 | ||||
---|---|---|---|---|
적응증 | 연 시장규모(추정) | 주요 경쟁사/약물 | 당사 포지셔닝 | 리스크 |
예: 고형암 | $Xbn | 머크·BMS·아스트라제네카 | 병용/후발 | 강한 경쟁, 허가 장벽 |
예: 희귀질환 | $Ybn | 사노피·로슈 | 니치/패스트트랙 | 환자수 제한 |
5. 밸류에이션 프레임(바이오 전용)
- rNPV(위험조정 순현재가치): 각 파이프라인 성공확률(전임상~3상 단계별 PoS)×매출 시나리오×마진×로열티 반영
- 상대가치: 국내외 비교그룹(임상 단계 유사, 동일 기전/적응증)의 P/B, EV/R&D, EV/Peak Sales 비율
- 이벤트 드리븐: 데이터 리드아웃, L/O, 규제지정(패스트트랙, 혁신의료기술 등) 시점 전후 리밸런싱
밸류에이션 체크리스트 | |||
---|---|---|---|
방법 | 핵심 입력 | 민감도 변수 | 주의점 |
rNPV | PoS, 로열티, 마진, 디스카운트 | PoS±, 피크세일즈± | 가정 과도 낙관 금지 |
상대가치 | 피어 그룹 멀티플 | 피어 선택 | 단계/기전 정합성 |
6. 리스크 & 모니터링 포인트
- 개발 리스크: 안전성·유효성 데이터 미흡/지연
- 자금조달: 임상 확장·제조설비 CAPEX 수요 대비 현금 부족
- 규제/허가: 심사 지연, 추가 데이터 요구
- 경쟁 심화: 선도 약물의 라인 확장, 가격경쟁
- 주주구성/락업: 상장 이후 오버행 이슈, 보호예수 해제 타이밍
지투지바이오는 (공시 확인 전제) 파이프라인·플랫폼의 경쟁력과 현금 런웨이가 핵심입니다.
단계별 데이터 질과 **파트너링(또는 상장 통한 자금 확충)**이 밸류에이션의 주요 트리거입니다.
코스닥 상장을 추진/완료했다면 기술특례 평가·수요예측 결과·보호예수를 1순위로 점검하세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