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전 세계 스마트폰 브랜드 점유율 (2025 상반기 기준)

by 둥타니의 신기한 세계 2025. 7. 5.

    [ 목차 ]
반응형

 

갤럭시? 아이폰? 샤오미? 글로벌 시장을 지배한 브랜드는?

 

2025년 상반기, 글로벌 스마트폰 시장은 극심한 경쟁과 정체를 동시에 겪고 있습니다.
프리미엄 시장은 여전히 애플과 삼성이 양분하고 있고,
중저가·신흥시장에서는 샤오미, 오포, 비보 등이 급부상 중이죠.

 

또한 화웨이의 복귀인도·동남아의 현지 브랜드 약진도 시장 판도에 영향을 주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전 세계 스마트폰 브랜드 점유율 TOP 7을 중심으로
시장 현황과 주요 인사이트를 분석해보겠습니다.

 

 

1. 2025년 전 세계 스마트폰 브랜드 점유율 (1~5월 기준)

순위 브랜드 시장 점유율 (%) 주요 시장 비고
1 삼성전자 (Samsung) 20.4% 글로벌 전역 갤럭시 S24 시리즈 흥행
2 애플 (Apple) 19.7% 북미·유럽·일본 아이폰 15·16 라인업 지속 인기
3 샤오미 (Xiaomi) 13.1% 인도·동남아·EU 일부 가격 대비 성능 우위, 레드미 시리즈 견고
4 오포 (OPPO) 9.3% 중국·남미·동남아 폴더블 진입 성공, 유럽 재진입 시도
5 비보 (vivo) 7.8% 중국·인도 카메라 경쟁력↑, Y·V 시리즈 확대
6 화웨이 (Huawei) 6.1% 중국 내수 중심 자체 칩셋 복귀, 5G 가능성 제시
7 리얼미 (realme) 3.9% 신흥국 중심 Z세대 타깃, 온라인 판매 집중

 

 

대륙별 스마트폰 점유율(+삼성,애플,중국) - 미스터리/공포 - 에펨코리아

 

대륙별 스마트폰 점유율(+삼성,애플,중국)

점유율은  출하량 기준시기는 24년 1~4분기중 특정분기 혼재됨퍼센트 소숫점은 경우에 따라 반올림 또는 생략.우선 전세계 평균 스마트폰 점유율전세계1위 삼성(18%)2위 애플(17%)3위 샤오미(14%)4

www.fmkorea.com

 

2. 주요 인사이트

1. 삼성 vs 애플, 양강 체제 유지

  • 삼성은 갤럭시 A 시리즈의 견고한 판매와 S24 울트라의 AI 기능 강화로 1위 유지
  • 애플은 가격 인상에도 불구하고 아이폰 고정 수요층 확보
  • 양사는 모두 프리미엄 전략 강화 중 → 중저가 라인업은 축소

2. 샤오미, 여전히 '가성비'의 제왕

  • 인도·동남아·중남미에서 여전히 1위 브랜드
  • 그러나 **고급 라인업(MI, POCO)**의 성장은 다소 둔화
  • 2025년 전략: “HyperOS 도입”, 자체 칩 개발 시도

3. 오포·비보, 폴더블과 카메라로 돌파구 모색

  • 오포 Find N 시리즈 → 가성비 폴더블로 인기
  • 비보는 X100 카메라 기술과 함께 중국 내 점유율 반등

4. 화웨이의 부활, 시장의 변수

  • 중국 내수 점유율 급반등 중
  • 자체 칩셋 ‘기린(Kirin)’ 재도입, 5G 복귀 가능성 논란
  • 미국·EU 진출 제한은 여전히 발목

 

3. 지역별 스마트폰 브랜드 분포도 요약

지역 선호 브랜드 주요 특징
북미 애플, 삼성 아이폰 점유율 50% 이상
유럽 삼성, 애플, 샤오미 가성비 브랜드 선호 증가
중국 화웨이, 오포, 비보 내수 브랜드 지배적
인도 샤오미, 리얼미, 삼성 200~400달러 제품 인기
동남아 샤오미, 오포 온라인 판매 시장 급성장
중남미 모토로라, 삼성, 샤오미 중저가 모델 70% 이상

 

 

4. 2025 스마트폰 시장 트렌드 5가지

  1. AI 기능 내장 스마트폰 증가 (삼성·구글 주도)
  2. 폴더블폰 대중화 가속화 (오포·삼성의 중급형 출시)
  3. 자체 OS·칩셋 개발 본격화 (샤오미, 화웨이 등)
  4. 온라인 직판 강화 (샤오미·리얼미 전략적 확대)
  5. 카메라 경쟁 심화 (비보, 애플, 구글 픽셀 중심)

 

5. 삼성 vs 애플 – 최근 10년간 글로벌 점유율 변동 추이

연도 삼성전자 점유율 애플 점유율 비고
2015 22.1% 15.8% 삼성, 갤럭시 S6 성공 / 아이폰 6s 출시
2016 20.5% 14.4% 갤럭시 노트7 발화 이슈 → 일시 하락
2017 21.6% 14.9% 아이폰 X 출시, OLED 첫 탑재
2018 20.8% 13.9% 중국 브랜드 점유율 확장
2019 21.0% 14.8% 아이폰 11 대중화 성공
2020 19.5% 15.9% 코로나19 팬데믹, 생산 차질
2021 20.2% 17.3% 아이폰 12 시리즈 흥행 / 5G 경쟁
2022 20.4% 18.8% 애플 첫 점유율 2위 돌파
2023 19.9% 20.1% 애플 최초 연간 점유율 1위
2024 21.5% 19.8% 삼성, AI 기능 탑재로 점유율 회복
2025 20.4% 19.7% 갤럭시 S24 vs 아이폰 16 경쟁 중

 

6. 분석 요약

✅ 삼성의 전략 변화

  • 2010년대 초: 중저가 + 프리미엄 양면 전략
  • 2020년 이후: A시리즈 중심 중저가 안정화 + 폴더블·S시리즈 고급화
  • 2024년 이후: "갤럭시 AI" 탑재로 소프트웨어 차별화 시도 중

✅ 애플의 전략 변화

  • 제품군 수는 적지만 고정 팬층 확보
  • SE 모델, 중저가 시장 겨냥했지만 성과는 제한적
  • iOS 생태계 락인 전략 + 구독형 수익모델(Apple One) 확대

📉 격차의 핵심 변수

  • 신흥시장 보급률
  • 자체 반도체·AI 연산 기술 도입
  • 공급망 안정성 (특히 팬데믹, 미·중 갈등 영향)
  • 브랜드 충성도 & 운영체제 생태계

 

2025년 상반기 기준, 삼성과 애플은 여전히 시장의 중심이지만
중국 브랜드들의 탄탄한 성장세도 무시할 수 없습니다.

 

특히, AI 기술, 폴더블 시장, 자체 생태계 구축 등이
브랜드 경쟁력의 핵심 키워드로 자리 잡고 있으며,
5년 내 새로운 ‘다크호스’가 등장할 가능성도 충분합니다.

 

소비자 입장에서 우리는 브랜드보다 ‘기능과 가성비’를 중심으로 선택하는 시대에 살고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