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목차 ]
안녕하세요.
2025년 8월 29일, 교육부는 한국 공교육 혁신의 핵심 정책인
**자율형 공립고 2.0(자공고 2.0)**의 신규 선정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이번 발표로 총 25개교가 추가 지정되며, 전국 자공고 2.0의 수는 125개교로 확대되었습니다.
1. 자율형 공립고 2.0의 개념과 변화
자공고 2.0은 무엇이 다른가요?
자율형 공립고 2.0은 단순한 고등학교 분류가 아니라 학교가 주도적으로
지역, 대학, 산업계와 협약을 맺고 자율적으로 운영하는 공교육 혁신 모델입니다.
기존 자공고와 비교했을 때, 다음과 같은 점이 다릅니다.
항목 | 기존 자공고(1.0) | 자공고 2.0 |
운영 방식 | 교육청 지침 중심 | 학교 자율 운영 확대 |
교육과정 | 정형화된 교과중심 | 지역 특화형·진로 맞춤형 |
협력 주체 | 교육청 중심 | 지자체·대학·기업 등 외부 협약 강화 |
진로 지원 | 제한적 | 포트폴리오 기반 진로 설계 |
혁신 성격 | 제한적 실험 모델 | 공교육 내 주류 모델로 확산 중 |
2. 자공고 2.0 2025년 신규 지정학교 현황
교육부는 공모를 통해 전국에서 25개 학교를 신규 자공고 2.0으로 선정하였습니다.
수도권뿐 아니라 농산어촌, 혁신도시 등 지역 특색이 뚜렷한 다양한 지역이 고르게 포함되었습니다.
지역 | 신규 지정 학교 |
---|---|
부산 | 부산고, 주례여고 |
인천 | 강화여고, 선인고, 인천고 |
경기 | 남한고, 백석고, 수주고, 연천고, 의정부고, 의정부여고, 이의고, 저현고, 평내고, 포천일고 |
강원 | 도계고 |
충북 | 진천고, 충주예성여고 |
전북 | 남원고, 이리여고 |
전남 | 보성고 |
경북 | 북삼고, 영주여고 |
경남 | 김해고, 삼천포중앙고 |
3. 자율형 공립고 2.0의 핵심 운영 전략
지역과 함께 성장하는 교육과정
자공고 2.0의 큰 특징은 지역사회와 연계한 특화 교육과정 운영입니다.
예를 들어 농촌 지역은 6차 산업, 스마트팜, 식품 가공 등을, 도시 지역은 인공지능, 데이터 분석, 도시계획 등의 분야를 접목합니다.
다양한 주체와의 협력
자공고 2.0은 다음과 같은 주체들과 협약을 체결하여 학교 운영을 공동으로 설계합니다.
지자체 | 지역 인프라·인적 자원 제공 |
대학 | 고교-대학 연계 교육과정 운영 |
기업 | 실무교육, 인턴십 제공 |
지역기관 | 현장 체험, 지역 문제 해결형 프로젝트 지원 |
4. 자율형 공립고 2.0의 대표 사례 분석
경기 포천일고
스마트 공장·로봇공학 중심 교육과정 운영. 포천테크노밸리와 협업하여 실습 중심 AI 기초수업, 로봇 코딩 캠프, 지역 스타트업 탐방 프로그램 운영.
전남 보성고
녹차 산업 연계 진로 교육 모델. 녹차 가공체험, 지역 6차 산업 전문가 특강, 전통 식음료 창업 프로젝트 운영.
충북 진천고
공공기관과의 진로 협업 중심 학교. 한국고용정보원, 농림축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과 연계하여 행정, 빅데이터, 지역정책 체험 중심 수업 구성.
5. 자공고 2.0이 학생에게 주는 변화
선택권과 진로 설계의 자율성
기존 학교 | 자공고 2.0 |
정해진 교과 수강 | 진로 중심 트랙 선택 가능 |
수업 중심 평가 | 프로젝트·포트폴리오 중심 평가 |
외부 연계 부족 | 대학·기업 연계 수업 다수 |
학생은 자신의 진로에 맞는 트랙을 선택하고, 학교 안팎의 다양한 경험을 통해 진학·진로 역량을 실제로 강화할 수 있습니다.
6. 학부모와 학생이 꼭 알아야 할 정보
구분 | 내용 |
---|---|
운영 방식 | 학교가 외부 기관과 협약 체결 후 자율 운영 |
교육과정 | 학생 선택형, 진로 중심 편성 가능 |
입학 자격 | 대부분 지역 제한 없음(학교별 상이) |
진로 지원 | 대학, 기업, 지역기관 연계 멘토링 |
평가 방식 | 과정 중심 + 포트폴리오 활용 |
7. 자율형 공립고 2.0의 장점과 한계
기대 효과
- 공교육 다양성 확대
- 지역 맞춤형 인재 양성
- 학생 중심 수업 확산
- 학교 자율성 강화
극복 과제
- 학교 간 편차 해소: 지역 컨설팅 확대, 교원 전문성 강화 필요
- 운영 지속성 확보: 예산 지원 및 행정적 자율성 확대
- 정책 연계성 강화: 고교학점제·진로진학지도와 통합 필요
향후 정책 방향과 기대
교육부는 향후 자공고 2.0을 기반으로 한 **'미래형 학교 운영모델'**을 전국으로 확대 적용할 계획입니다.
2026년 이후에는 교육자치와 고교학점제, 지역균형 발전 전략이 통합된 새로운 고등학교 정책 모델도 추진될 것으로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