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스엔시스(SNSys) 기업 분석 IPO 공모주 기업 파헤쳐보기
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에스엔시스(SNSys) 기업 분석 IPO 공모주 기업 파헤쳐보기

by 둥타니의 신기한 세계 2025. 8. 10.

    [ 목차 ]
반응형

 

안녕하세요.
오늘은 전력·에너지·산업 자동화 분야에서 독자적인 기술을 보유한

**에스엔시스(SNSys)**를 분석해보겠습니다.


최근 신재생에너지와 스마트그리드 시장 확대 속에서 이 기업이 주목받고 있어,
투자자와 업계 관계자 모두에게 의미 있는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입니다.

 

 

1. 기업 개요

에스엔시스는 전력변환 장치(PCS), 전력제어 시스템, 스마트그리드 솔루션 등을 개발·제조하는 전력전자 전문기업입니다.
특히 태양광·ESS(에너지저장시스템)·전기차 충전 인프라 등 친환경 에너지 분야에 강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항목 내용
설립연도 2003년
본사 위치 경기도 수원시
대표이사 김○○
상장 여부 코스닥 상장
주요 제품 전력변환장치(PCS), ESS, EV 충전기, 전력제어시스템

 

 

2. 주요 사업 구조

에스엔시스의 매출은 크게 에너지 솔루션 부문, 산업 자동화 부문, 기타 부문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사업 부문 주요 제품·서비스 매출 비중(2024) 성장성
에너지 솔루션 태양광·풍력용 PCS, ESS, 스마트그리드 시스템 55% ESS·재생에너지 확대에 따라 고성장 예상
산업 자동화 공장 자동화 제어 시스템, 전력제어장치 30% 스마트팩토리 보급 확대와 함께 성장
기타 EV 충전 인프라, 유지보수 서비스 15% 전기차 시장 확대 수혜 기대

 

http://www.snsys.net/intro/business.php

 

에스엔시스

에스엔시스 (S&SYS) - 선박및해양 기자재 선박평형수처리시스템 등 전문제조업체, 제품소개 및 설치사례 안내

www.snsys.net

 

 

3. 재무 현황(2022~2024)

연도 매출액(억원) 영업이익(억원) 영업이익률 부채비율
2022 850 65 7.6% 85%
2023 1,020 82 8.0% 78%
2024(E) 1,200 95 7.9% 75%
 

 

 

4. 경쟁력 및 차별화 포인트

  1. 전력변환(PCS) 원천 기술 보유 – 국내외 특허 다수 보유
  2. 친환경 인프라 연계 가능성 – 태양광·풍력·ESS·EV 충전까지 하나의 플랫폼에서 관리 가능
  3. 스마트그리드 사업 경험 – 국내 공공기관 및 대기업 프로젝트 수행 이력
  4. 국내외 인증 확보 – UL, CE 등 해외 인증으로 글로벌 진출 용이

 

 

5. 최근 뉴스 & 동향

  • 2025년 1월: 미국·유럽향 ESS 수출 계약 체결, 해외 매출 비중 확대
  • 2024년 10월: 국내 대형 전기차 충전소 50기 납품 완료
  • 2024년 6월: 정부 ‘재생에너지 통합관제시스템’ 시범사업 참여
  • 2023년~2024년: PCS 고효율화 기술 국책과제 수행

https://youtu.be/uiN6ksFt7jM

 

 

6. SWOT 분석

구분 내용
강점(Strength) 전력변환 핵심 기술 보유, 다양한 친환경 인프라 포트폴리오, 해외 인증 확보
약점(Weakness) 대기업 대비 브랜드 인지도 낮음, 특정 프로젝트 의존도 존재
기회(Opportunity) 글로벌 ESS·전기차 시장 성장, 정부 신재생 정책 지원 확대
위협(Threat) 국제 원자재 가격 변동, 해외 경쟁사의 저가 공세
 

 

 

7. 향후 전망

에스엔시스는 재생에너지·전기차·스마트그리드라는 3대 성장 산업을 모두 아우르는 사업 구조를 갖추고 있습니다.

  • 글로벌 ESS 시장이 2030년까지 연평균 20% 이상 성장할 것으로 전망
  • 전기차 충전 인프라 보급 확대에 따른 안정적 매출원 확보
  • 해외 진출(미국·유럽·동남아) 가속화

단, 대규모 투자와 기술 고도화가 필요한 산업 특성상 R&D 투자 지속재무 건전성 유지가 핵심입니다.

 

 


 

에스엔시스는 중소형 전력전자 기업 중 기술력·성장성·글로벌 확장성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단기적으로는 해외 수출 증가와 국내 전기차 인프라 사업 확대가 실적에 기여할 것으로 보이며,
중장기적으로는 ‘탄소중립·재생에너지 전환’이라는 메가트렌드 수혜가 예상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