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목차 ]
전 세계 바이오 산업은 빠른 기술 발전과 글로벌 헬스케어 수요 증가에 따라
지속적인 성장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특히 유전자 치료, 항체 치료제, mRNA 백신과 같은 첨단 분야에서 혁신을 이끌고 있는
기업들이 시가총액에서도 눈에 띄는 성과를 보여주고 있는데요.
2024년 연간 기준으로 집계된 전 세계 바이오 기업 시가총액 TOP10을 소개합니다.
1. 2024년 바이오 기업 시가총액 순위 TOP10
아래는 2024년 연말 기준, 세계 주요 증시에 상장된 바이오 기업 시가총액 상위 10곳입니다.
(환율은 2024년 평균 기준 적용, 단위: USD)
순위 | 기업명 | 국가 | 시가총액 (USD 기준) | 주요 사업 분야 |
---|---|---|---|---|
1 | Johnson & Johnson | 미국 | $438B | 제약, 헬스케어, 바이오의약품 |
2 | UnitedHealth Group | 미국 | $415B | 헬스케어 보험, 바이오 서비스 |
3 | Eli Lilly | 미국 | $390B | 항당뇨제, 비만치료제, 면역치료 |
4 | Roche | 스위스 | $280B | 암 치료제, 체외 진단 |
5 | Merck & Co. | 미국 | $275B | 면역항암제, 백신 |
6 | Pfizer | 미국 | $180B | 코로나 백신, 일반의약품 |
7 | Novartis | 스위스 | $172B | 면역질환, 희귀질환 치료제 |
8 | AbbVie | 미국 | $165B | 자가면역치료, 혈액암 |
9 | AstraZeneca | 영국 | $155B | 항암제, 코로나 백신 |
10 | Moderna | 미국 | $68B | mRNA 백신, 신약 개발 |
2. 기업별 간단 분석
1위 – Johnson & Johnson
- 다국적 제약·바이오·소비재 기업
- 의료기기와 일반의약품, 백신 및 희귀병 치료제 등 다방면
2위 – UnitedHealth Group
- 보험 회사지만, 바이오 헬스케어 플랫폼 Optum 통해 헬스테크 확장
3위 – Eli Lilly
- **GLP-1 계열 비만치료제(무나로, 위고비 경쟁)**로 급부상
- 알츠하이머 치료제 등 중추신경계 신약 파이프라인 강세
4위 – Roche
- 암 진단·치료에 세계적 강자
- 체외진단 검사 기기 매출 급성장
5위 – Merck & Co.
- 면역항암제 ‘키트루다(Keytruda)’ 글로벌 판매 1위
6위 – Pfizer
- 코로나19 백신 후반기 매출 급감, 하지만 mRNA 기술 고도화 추진
7위 – Novartis
- 희귀질환 및 유전자 치료제 중심으로 재편 중
8위 – AbbVie
- ‘휴미라(Humira)’ 이후 후속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개발에 집중
9위 – AstraZeneca
- 고혈압·암 치료제에서 백신 개발까지 폭넓은 파이프라인
10위 – Moderna
- mRNA 기반 백신 선도 기업, 현재 암 백신 개발에 집중
3. 2024년 글로벌 바이오 시장 트렌드
- 비만치료제(GLP-1 RA 계열): Eli Lilly, Novo Nordisk 주도
- 암 정밀치료제 및 세포치료제: 면역항암제·CAR-T 급성장
- 희귀질환 치료제 시장: 글로벌 빅파마 전략적 확장 중
- AI 기반 신약개발 플랫폼: 바이오벤처들이 협력 가속화
- mRNA 기술 확장: 암, 자가면역질환 백신으로 확대 시도
4. 분야별 특화 글로벌 바이오 기업 소개
① 비만 치료제 부문 선도 기업
1. Eli Lilly & Co. (미국)
- 대표 제품: 무나로(Mounjaro) / 신제품 Zepbound (제프바운드)
- 작용기전: GLP-1 + GIP 수용체 이중 작용
- 특징: 단일 GLP-1보다 체중 감량 효과 + 혈당 개선이 뛰어난 이중호르몬 요법
- 임상 결과:
- 평균 체중 감량 22.5% (72주)
- 당뇨병 환자 대상 우수한 혈당 조절 효과
✅ 2024년 기준으로 GLP-1 계열 비만 치료 시장에서 Novo Nordisk와 함께 양대 산맥
✅ 미국 FDA 비만 적응증 허가 완료 → 미국·유럽·일본 등 주요 시장 출시 확대
2. Novo Nordisk (덴마크)
Novo Nordisk | Unordinary drives change
Novo Nordisk | Unordinary drives change
Novo Nordisk is a leading global healthcare company, founded in 1923 and headquartered in Denmark. Our purpose is to drive change to defeat diabetes and other serious chronic diseases.
www.novonordisk.com
- 대표 제품: 삭센다(Saxenda) → 위고비(Wegovy)
- 작용기전: GLP-1 수용체 작용제
- 차별화: 최초의 주 1회 자가주사형 비만 치료제, 임상으로 효과 입증
- 시장점유율:
- 2024년 기준 GLP-1 비만치료제 시장 40% 이상 점유
- 위고비는 특히 헐리우드 셀럽과 미국 내 일반인 사이에서 폭발적 인기
향후 계획: 경구용 GLP-1 개발도 진행 중 (주사 형태 대체 기대)
② 항암제 부문 글로벌 리더
1. Merck & Co., Inc. (MSD, 미국)
- 대표 제품: 키트루다(Keytruda)
- 기전: PD-1 억제 면역항암제
- 적응증: 폐암, 피부암, 유방암, 위암, 자궁경부암 등 15개 이상
- 성과:
- 2024년 연 매출 약 250억 달러 이상
- 세계에서 가장 매출이 높은 항암제
- 타 항암제 대비 생존기간 연장 + 부작용 적음
키트루다는 현재 100건 이상 병용요법 임상 진행 중
Merck는 키트루다 이후 후속 파이프라인 확보에도 집중
2. Roche (스위스)
- 대표 제품: 아바스틴(Avastin), 허셉틴(Herceptin)
- 주력 분야: 유방암, 대장암, 폐암, 혈액암
- 기술력: 세계 최대 체외진단기기 회사이기도 하며, 동반진단(Companion Diagnostics) 강자
- 전략:
- 면역치료제 + 분자표적치료제 병용 임상 강화
- AI기반 바이오마커 탐색
2024년에도 유럽/아시아권 시장에서 높은 매출 점유율 유지
③ AI 기반 신약개발 / 파이프라인 개발 선도 기업
1. Recursion Pharmaceuticals (미국)
- AI & 머신러닝 기반 신약 개발 벤처
- 플랫폼: Recursion OS
- 방식: 수십억 건의 세포 이미지를 딥러닝 분석 → 약물-질환 연관성 탐색
- 협업: Roche, Bayer, Genentech 등 글로벌 빅파마와 파트너십 체결
- 강점:
- 인간 세포 기반 실험 이미지 + 구조화된 데이터로 실험 재현성 ↑
- 초기 후보물질 도출 속도 향상
2024년 기준 4개 파이프라인이 임상 1상 진입 중
2. Exscientia (영국)
- 세계 최초의 AI 기반 신약 후보물질 임상 진입 기업
- 기술: AI 약물 설계 + 가상 스크리닝 + 표적 예측
- 대표 성과:
- Sanofi, Sumitomo 등과 협력 → 수십억 달러 규모 계약 체결
- 첫 임상 단계 AI 개발 신약은 2023년 진입
약물 탐색 시간 최대 70% 단축, 비용 최소화
3. Insilico Medicine (홍콩/미국)
- AI 기반 표적 발굴 → 구조 기반 약물 설계
- 플랫폼: PandaOmics (질병 표적 분석), Chemistry42 (화합물 설계)
- 전략: "AI → 합성 → 임상까지 직접 수행하는 자체 개발 모델"
- 최근 발표:
- 파킨슨병 신약 후보물질 임상 진입 성공
- 미·중·유럽 제약사와 글로벌 공동개발 추진
5. 한국 바이오벤처 기업 비교 분석
왜 바이오벤처인가?
2024년 이후 한국 바이오산업은 단순 CMO(위탁생산) 중심을 넘어
신약 개발 중심의 R&D 기반 바이오 벤처기업들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특히 AI 기반 신약 개발, 항암 면역치료제, mRNA 기반 기술, 희귀질환 치료제 등
다양한 영역에서 글로벌 진출 및 기술수출 사례가 등장하며
“제2의 셀트리온·삼성바이오로직스”를 꿈꾸는 스타 바이오텍이 탄생하고 있습니다.
6. 한국 바이오벤처 TOP 기업 비교
기업명 | 주요 분야 | 핵심 파이프라인 | 기술수출 현황 | 특징/비고 |
---|---|---|---|---|
에이비엘바이오 | 항암 이중항체 | ABL301 (뇌전이암), ABL111 | 사노피에 기술이전 (1조 원 규모) | 이중항체 플랫폼 'Grabody' 보유 |
HLB | 항암제 | 리보세라닙 (간암, 위암) | 중국, 미국 대상 기술이전 및 파트너링 | 리보세라닙, 미국 FDA 승인 도전 중 |
알테오젠 | 약물전달기술 | ALT-B4 (SC제형 변환) | 머크·로슈 등 글로벌 4곳 이상 기술이전 | 휴미라·허셉틴 SC 변형 기술로 강점 |
지아이이노베이션 | 면역항암제 | GI-101 (TGF-β+IL-2 융합단백질) | 총 2.5조 원 기술이전 달성 (2023 기준) | 융합단백질 기반 신약 강자 |
에디토스 | AI 신약개발 | 치매·뇌신경계 질환 타깃 | 아직 없음 (비상장 스타트업) | AI 플랫폼 ‘MIND2DRUG’ 주목 |
싸이토젠 | 액체생검 | CTC 기반 암 진단 키트 | 국내 병원·제약사 협력 확대 | 비침습 암 조기진단 기술 보유 |
7. 기업별 특징 분석
✅ 에이비엘바이오
- 이중항체 기술 플랫폼 ‘Grabody’ 보유
- 사노피에 ABL301 기술이전 (2022년) → 총 계약 규모 1.06조 원
- 현재 다수의 고형암 및 뇌전이암 타깃 이중항체 치료제 개발 중
✅ 알테오젠
- 약물 SC(피하주사) 변환 기술 ALT-B4로 ‘휴미라’, ‘허셉틴’ 등의 정맥주사 약물을 SC 제형으로 변경 가능
- 머크·로슈 등 글로벌 제약사와 다수 협약 체결
- 기술수출로 2024년 누적 수익 약 4000억 원 이상 달성
✅ HLB
- 대표 파이프라인 리보세라닙: 위암/간암 치료제
- 미국 FDA 승인 시도 → 국산 항암제 최초 허가 기대감
- 최근 글로벌 임상 3상 진행, 결과 발표 대기 중
✅ 지아이이노베이션
- 융합단백질 플랫폼으로 글로벌 주목
- TGF-β와 IL-2 등 면역 조절 인자 융합 기술
- 아스트라제네카, BMS 등 글로벌 기업과 파트너링 협의 중
✅ 에디토스
- AI 기반 치매 치료제 개발 기업
- 데이터 기반 신약 후보 물질 탐색
- 비상장이지만 최근 국내 VC 투자 활발
8. 최근 기술수출 성과 TOP3
기업 | 수출 시점 | 금액(계약 규모) | 파트너 |
에이비엘바이오 | 2022 | 1조 600억 원 | 사노피 |
지아이이노베이션 | 2023 | 2조 5천억 원 | 다수 글로벌 파트너 |
알테오젠 | 2021~2023 | 누적 약 4000억 원 | 머크, 로슈 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