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목차 ]
반응형
안녕하세요.
오늘은 투자·재테크를 하시는 분들이 꼭 알아야 하는 “금 시세 확인법”을 깊이 있게 정리해드리겠습니다.
금은 전 세계적으로 통용되는 안전자산이자, 경제 불안 시 더 주목받는 투자 수단입니다.
하지만 금 가격은 하루에도 여러 번 변동하고, 국내·국제 시세가 다를 수 있어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를 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1. 금 시세란?
금 시세는 **금 1g 또는 1트로이온스(troy ounce)**의 거래 가격을 의미합니다.
- 국제 금 시세: 런던 금 거래소(LBMA) 기준, 미국 뉴욕상품거래소(COMEX) 등에서 형성
- 국내 금 시세: 한국거래소(KRX) 금시장, 금은방·은행 시세 등에서 결정
💡 1트로이온스 = 31.1034768g
2. 금 시세가 변하는 이유
금 가격은 여러 요인에 따라 시시각각 변합니다.
영향 요인 | 설명 |
---|---|
국제 금 시세 | 달러 기준 글로벌 거래가. 달러 환율과 밀접한 연관 |
환율 | 원/달러 환율에 따라 국내 시세 변동 |
수급 상황 | 국내 금 수입·재고·수요에 따른 단기 변동 |
투자 심리 | 금 ETF·선물 거래, 안전자산 선호도 |
3. 국내 vs 국제 금 시세 차이
국내 금 시세는 단순히 국제 시세를 원화로 환산한 값이 아닙니다.
- 국제 금 시세(달러 기준) + 환율 + 세금(부가세 10%) + 가공·유통 마진이 반영됩니다.
- 따라서 국제 금 시세가 내려가도 국내 가격이 바로 내려가지 않을 수 있습니다.
4. 가장 정확하게 금 시세를 확인하는 3가지 방법
① 한국거래소(KRX) 금시장
- 특징: 국내 공식 금 거래 시세 제공, 실시간 호가 확인 가능
- 장점: 부가세 면제 조건으로 실물 인출 가능(증권사 계좌 필요)
- 사이트: 한국거래소 금시장
② LBMA·COMEX 국제 시세
③ 주요 시중은행·한국금거래소
- 특징: 실제 개인 투자·금 매매에 적용되는 시세 제공
- 장점: 국내 실물 매입·매도 가격, 수수료 포함
- 사이트: 한국금거래소, KB·신한·하나은행 금통장 시세
https://www.exgold.co.kr/price/inquiry/domestic
한국금거래소 - 사업자전용
www.exgold.co.kr
5. 금 시세 확인 시 유의사항
- 부가세 포함 여부 확인 – 국내 실물 금은 부가세 10% 부과, KRX 금거래소는 면제 조건 있음
- 매입·매도 가격 차이(스프레드) – 금은방·은행에서는 통상 3~5% 차이 발생
- 환율 변동 체크 – 국제 시세가 오르지 않아도 환율 상승으로 국내 가격이 오를 수 있음
- 실시간 데이터 확인 – 하루 1회 고시가 아닌 실시간 호가를 참고해야 정확
6. 금 시세 실전 확인 루틴(예시)
- 오전 9시 – KRX 금시장 시세 확인 (국내 거래용 기준)
- 점심시간 전 – LBMA 전일 종가와 COMEX 아침 시세 체크 (국제 동향 파악)
- 오후 3시 이후 – 환율 변동 확인, 시중은행 금 매매가와 비교
- 투자 결정 – 금 ETF/금통장/실물 매수 여부 판단
7. 금 시세 확인을 위한 추천 채널
채널 | 특징 | 활용 용도 |
---|---|---|
한국거래소(KRX) 금시장 | 국내 공식 거래 시세 | 국내 매매·투자 기준 |
LBMA | 글로벌 기준 시세 | 국제 시세 비교 |
시중은행 금 시세 | 실물·금통장 거래가 | 개인 투자·매매 참고 |
한국금거래소 | 실물 금 판매 시세 | 귀금속·금반지 구매 참고 |
8. 최근 10년 국제 금 시세(연평균)
연도 | 국제 금 시세(달러/트로이온스) | 환율(원/달러, 연평균) | 원/그램 환산가(부가세 제외) | 주요 특징 |
---|---|---|---|---|
2015 | 1,160 | 1,131 | 약 42,200원 | 미국 금리 인상 기조, 금값 하락 |
2016 | 1,250 | 1,160 | 약 46,600원 | 브렉시트 충격, 안전자산 수요 증가 |
2017 | 1,257 | 1,130 | 약 45,700원 | 북미 긴장 고조, 금값 상승세 |
2018 | 1,268 | 1,100 | 약 44,800원 | 미중 무역전쟁, 금값 변동성 확대 |
2019 | 1,393 | 1,165 | 약 52,000원 | 세계 경기 둔화 우려, 금값 강세 |
2020 | 1,770 | 1,180 | 약 67,300원 | 코로나19 팬데믹, 사상 최고치 경신 |
2021 | 1,799 | 1,145 | 약 66,200원 | 인플레이션 우려, 금값 유지 |
2022 | 1,800 | 1,291 | 약 74,800원 |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환율 급등 |
2023 | 1,940 | 1,300 | 약 81,000원 | 미 금리인상·인플레 지속, 안전자산 선호↑ |
2024 | 2,050 | 1,320 | 약 86,800원 | 글로벌 지정학 리스크, 금값 사상 최고권 유지 |
💡 위 수치는 연평균 기준이며, 하루 단위·월 단위로 보면 변동폭이 훨씬 큽니다.
또한 원/그램 환산가는 단순 환산치이므로 국내 실물 시세는 부가세·유통 마진이 포함돼 더 높게 형성됩니다.
9. 최근 10년 금 시세 흐름 분석
- 2015~2018: 비교적 안정적인 가격대 유지, 미 달러 강세로 금값 제한
- 2019~2020: 글로벌 경기 불확실성, 코로나19 팬데믹으로 급등
- 2021~2022: 인플레이션·전쟁 영향, 금값 고점 유지
- 2023~2024: 2,000달러 돌파, 안전자산 선호 심화
금 시세는 국제 시세, 환율, 세금, 수수료가 복합적으로 반영된 결과입니다.
따라서 하나의 출처만 보는 것보다, 국제 시세 + 국내 공식 시세 + 실제 매매가를 모두 비교하는 것이 정확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