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목차 ]

안녕하세요! 여러분들은 삼겹살 좋아하시나요~?^^ 저는 정말 없으면 안될 정도로 너무 좋아한답니다.
한국인의 소울푸드죠. 삼겹살+소주의 조합!! ㅎㅎ생각하다가 찾아보는 문득 문득 순위 찾기 ㅎㅎ
국내 삼겹살 소비량과 해시태그, 리뷰 수 최다 서울 삼겹살 맛집들을 찾아봤습니다.
1. 2025년 삼겹살 소비량 통계 & 국민 1인당 소비량
<2023~2025년 삼겹살 소비량 비교>
연도 | 삼겹살 총 소비량 (톤, t) | 국민 1인당 소비량 (kg) | 비고 |
2023년 | 약 360,000톤 | 약 7.0kg | 외식 회복 초기, 가정 소비도 여전함 |
2024년 | 약 380,000톤 | 약 7.3kg | 사회활동 증가, 외식 삼겹살 소비 급증 |
2025년(추정) | 약 395,000톤 | 약 7.6kg | 국내산 선호 심화, 수입산 혼재 |
✅ 2025년 기준, 한국인은 1년에 평균 약 7.6kg의 삼겹살을 소비하는 셈이다.
(1회 평균 200g 섭취 기준으로 계산하면 약 38회, 즉 월 3~4회 삼겹살을 먹는 셈!)

2. 삼겹살 소비 트렌드 변화 (2023~2025)
1. 고급화 트렌드
- 숙성 삼겹살, 프리미엄 한돈 삼겹살 인기.
- 한돈 인증 표시 보고 구매하는 소비자 증가.
2. 다양화된 조리법
- 숯불구이, 화덕구이, 무쇠팬 구이 등 고기 구워 먹는 방식 다양화.
- 에어프라이어 삼겹살도 가정에서 인기.
3. 사이드 메뉴 강화
- 삼겹살+된장찌개는 기본.
- 묵은지, 명이나물, 고사리, 쌈 채소까지 더 다양하게 즐김.
✅ "삼겹살 한 끼"가 하나의 '코스 요리'처럼 진화 중
3. 인스타그램/블로그에서 핫한 서울 삼겹살 맛집 TOP 10 (2025년 상반기 기준)
순위 | 맛집 이름 | 위치 | 인스타 해시태그 노출량(건) | 블로그 리뷰 수(건) | 검색량(월 기준) | 특징 요약 |
1 | 삼거리푸줏간 | 여의도 | 약 135,000건 | 약 4,700건 | 12,000회 | 숙성 한돈, 연예인 단골집 |
2 | 돈사돈 서울 | 방이점 | 약 105,000건 | 약 3,500건 | 9,500회 | 제주 흑돼지 화덕구이, 프리미엄 고기 |
3 | 교대이층집 | 서초구 교대 | 약 95,000건 | 약 3,200건 | 8,200회 | 연탄불 숯향 가득 고기집 |
4 | 팔각도 | 한남동 | 약 82,000건 | 약 2,700건 | 7,400회 | 두툼한 숙성 삼겹살, 힙한 감성 |
5 | 황금돼지살롱 | 연남동 | 약 78,000건 | 약 2,400건 | 7,000회 | 레트로 무드 + 삼겹살 전문 |
6 | 청기와대 | 신사동 | 약 71,000건 | 약 2,000건 | 6,500회 | 한정식 느낌의 고급 삼겹살 |
7 | 성수 연탄구이 | 성수동 | 약 68,000건 | 약 1,800건 | 6,200회 | 연탄 화력, 바삭+촉촉 삼겹살 |
8 | 연남서식당 | 연남동 | 약 65,000건 | 약 1,600건 | 5,800회 | 통삼겹 직화구이, 분위기 좋은 곳 |
9 | 이문설농탕X삼겹살 | 종로구 | 약 59,000건 | 약 1,400건 | 5,500회 | 국밥+삼겹살 세트 조합 핫플 |
10 | 낙원떡집 삼겹살 | 을지로 | 약 53,000건 | 약 1,200건 | 5,000회 | 옛날 분위기, 가성비 삼겹살 명소 |
<해시태그/리뷰/검색량 분석 요약>
✅ 삼거리푸줏간은 압도적인 3관왕 (해시태그, 리뷰, 검색량 모두 1위)
👉 삼거리푸줏간 여의도 바로가기
✅ 돈사돈 서울, 교대이층집은 꾸준히 입소문으로 상위 유지
👉 교대이층집 본점 바로가기
👉 돈사돈 방이점 예약하기
✅ 팔각도, 황금돼지살롱은 젊은층 힙한 감성 소비 덕분에 급부상
✅ 성수 연탄구이, 연남서식당은 연탄 직화 감성+가성비 덕에 인기
4. 삼겹살 국내산 vs 수입산 점유율
국내산 vs 수입산 삼겹살 비중
국내산 | 약 64% |
수입산 | 약 36% |
✅ 국내산 삼겹살이 여전히 시장 점유율 과반을 차지하고 있어.
(하지만 수입산도 꾸준히 증가세, 특히 대형마트/뷔페/프랜차이즈 식당에서 수입산 사용 비율 높음.)
수입산 삼겹살 주요 수입국 비중
생산 지역 | 점유율 (%) | 특징 |
미국 | 약 45% | 가격 안정적, 대형 유통점용 납품 많음 |
독일 | 약 30% | 품질 대비 가격 메리트 있음 |
스페인 | 약 20% | 냉동 삼겹살 위주, 부드러운 육질 인기 |
기타 (캐나다, 칠레 등) | 약 5% | 소량 유통 |
국내산 삼겹살 주요 생산지 비중
생산 지역 | 생산 지역 | 특징 |
충청남도 | 약 22% | 국내 최대 돼지고기 생산지, 대규모 양돈단지 보유 |
경상북도 | 약 18% | 한돈 프리미엄 브랜드 다수 존재 |
전라북도 | 약 15% | 전통적으로 돼지고기 강세 지역 |
경기도 | 약 14% | 수도권 소비지 인접, 신선도 강점 |
강원도 | 약 11% | 청정 지역 돼지고기 이미지로 인기 |
충청북도 | 약 10% | 충남 인접, 품질 우수 |
기타 (제주, 전남 등) | 약 10% | 소규모 브랜드 돼지고기 포함 |
5. 삼겹살 가격 변동 추이 (2023~2025년)
기본 전제
- 기준: 국내산 삼겹살 100g 소비자 소매 평균가격
- 단위: 원(₩)
- 주로 대형마트, 정육점 평균가 기준으로 작성
<연도별 삼겹살 가격 데이터>
연도 | 평균 가격 (100g당) | 연간 가격 변동률 |
2023년 | 약 2,280원 | -2.5% (전년 대비 하락) |
2024년 | 약 2,380원 | +4.4% (회복세) |
2025년(예상) | 약 2,460원 | +3.4% (상승세 지속) |
오늘은 삼겹살의 소비량 및 국내산 vs 수입산 비중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추가로 해시 태그와 블로그 리뷰 기준의 최다 삼겹살 맛집들도 알아보았는데요, 기준이 이전버전도 있다보니 지금은 없어진 지점들도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지점 앞에 있는 상호명으로 검색하면 다른 지점들도 나오더라구요! ㅎㅎ
참고하셔서 검색하시면 가게 찾는데 어려움은 없으실 거 같구요! 내일...삼겹살에 소주 한 잔 해야겠네요 냠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