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국내 라면 브랜드 매출 순위(1위는 어디? 내 최애 라면은?) 신라면 짜파게티 불닭볶음면...

by 둥타니의 신기한 세계 2025. 4. 18.

    [ 목차 ]
반응형

 

안녕하세요! 

한국인에게 라면은 단순한 인스턴트 식품이 아니죠.

‘국민식품’이라는 표현이 전혀 과하지 않을 정도로,

라면은 우리의 식탁, 야식, 캠핑, 여행, 혼밥까지

수많은 장면을 함께하고 있습니다.

지금부터 2024년도 연간 국내 라면 브랜드 매출 순위를 표로 먼저 살펴보고,

각 브랜드의 매출 특징과 성장 요인을 꼼꼼히 분석해보겠습니다.


2024년 국내 라면 브랜드 매출 순위 TOP 10

순위
브랜드명
기업명
연간 매출
시장 점유율(%)
대표 제품
1
신라면
농심
8,950억 원
33.2%
신라면, 안성탕면
2
짜파게티
농심
2,620억 원
9.7%
짜파게티, 짜왕
3
불닭볶음면
삼양식품
2,590억 원
9.6%
불닭시리즈, 삼양라면
4
너구리
농심
2,220억 원
8.2%
너구리, 얼큰한 너구리
5
진라면
오뚜기
2,100억 원
7.8%
진라면(순한맛, 매운맛)
6
틈새라면
팔도
1,550억 원
5.8%
틈새라면, 왕뚜껑
7
육개장 사발면
농심
1,200억 원
4.4%
육개장, 컵라면 시리즈
8
컵누들
오뚜기
1,000억 원
3.7%
컵누들, 참깨라면
9
비빔면
팔도
960억 원
3.6%
비빔면, 괄도네넴띤
10
튀김우동
삼양식품
850억 원
3.2%
튀김우동, 나가사끼짬뽕
 

 

브랜드별 매출 특징

1위 – 신라면 (농심)

국내 라면계의 절대 1위

2024년 한 해 동안 8,950억 원이라는 압도적인 매출을 기록하며

30% 이상의 시장 점유율을 유지했습니다.

국내뿐 아니라 해외 수출 비중도 높아,

글로벌 브랜드로서의 입지를 확실히 다졌습니다.

‘신라면 블랙’, ‘신라면 건면’ 등 파생 제품군도

꾸준한 인기를 끌며 브랜드 파워를 강화 중입니다.

신라면 최저가 보러 가기

 

2위 – 짜파게티 (농심)

짜장라면의 독보적인 강자로, 연간 2,620억 원의 매출을 기록했습니다.

짜파게티는 오랫동안 혼합 조리(예: 짜파구리)의

중심 제품으로 자리매김해 왔으며,

2024년에도 SNS와 유튜브에서 레시피 콘텐츠 소비 증가로 인기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짜왕 등 프리미엄 짜장 라면군의 매출 기여도도 높았습니다.

 

짜파게티 최저가 보러 가기

3위 – 불닭볶음면 (삼양식품)

2024년에도 ‘K-매운맛’의 상징으로 전 세계에서 활약했습니다.

삼양식품은 불닭볶음면 시리즈로만 2,590억 원의 매출을 달성했습니다.

특히 해외 매출 비중이 70%에 달할 정도로, K-푸드 수출의 대표 아이콘이 되었습니다.

국내에서는 한때 성장세가 주춤했지만, 치즈불닭, 로제불닭 등 라인업 확장으로 다시 상승세를 탔습니다.

 

불닭볶음면 최저가 보러 가기

4위 – 너구리 (농심)

우동 스타일의 굵은 면발과 감칠맛 국물

중장년층에게 꾸준한 사랑을 받고 있는 제품입니다.

올해는 ‘라면계의 국밥’이라는 별명이 생길 정도로 든든한 한끼 대용 라면으로 자리매김했고,

최근에는 해물풍미를 강화한 리뉴얼 제품도 출시되며 매출 성장에 기여했습니다.

 

너구리 최저가 보러 가기

5위 – 진라면 (오뚜기)

‘가성비 라면’으로 여전히 확고한 팬층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2024년에는 ‘진라면 매운맛’이 매운맛 소비자층에 다시 부각되면서, 꾸준한 인기를 유지했고,

특히 ​급식 및 단체급식 시장에서의 점유율이 매우 높아

안정적인 매출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진라면 최저가 보러 가기

6위 – 틈새라면 (팔도)

틈새라면은 강렬한 매운맛으로 중독성 있는 매니아층을 끌어모았습니다.

2024년에는 틈새라면 컵버전과 대용량 제품이 새로 출시되며

MZ세대를 타깃으로 한 마케팅 강화가 효과를 봤습니다.

특히 편의점 채널에서의 점유율 상승이 인상적입니다.

7위 – 육개장 사발면 (농심)

국내 사발면 시장의 최강자죠.

빠른 조리, 진한 국물 맛, 저렴한 가격 덕분에

자취생과 캠핑족 사이에서 여전히 인기가 높습니다.

2024년에는 '레트로 감성 패키지' 리뉴얼이 SNS에서 화제를 모으며 판매량이 증가했습니다.

8위 – 컵누들 (오뚜기)

저칼로리 라면이라는 독특한 포지셔닝으로,

건강한 라면을 찾는 소비자들에게 호평을 받고 있습니다.

특히 여성 소비자층과 다이어터 사이에서 인기가 높고,

2024년에는 ‘컵누들 곤약면’ 시리즈의 반응이 좋아 판매 증가로 이어졌습니다.

9위 – 비빔면 (팔도)

여름 한정이라는 시즌성을 가진 제품임에도 불구하고,

연간 기준으로 TOP 10 안에 드는 매출을 기록했습니다.

2024년에는 사계절 판매 확대 전략이 일부 성공하면서 겨울 비빔면 판매도 증가했습니다.

특히 괄도네넴띤(비빔면 매운맛 시리즈)도 MZ세대에게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10위 – 튀김우동 (삼양식품)

깊은 국물 맛과 바삭한 튀김 건더기 블록으로 대표되는 제품이죠.

2024년에는 삼양의 프리미엄 브랜드 라인인 ‘나가사끼짬뽕’과 함께

일본식 스타일 라면 수요 증가에 발맞춰 상승세를 탔습니다.

다소 고가임에도 불구하고 편의점 채널에서의 반응이 긍정적이었습니다.


2024년 라면 시장의 트렌드 키워드

1. 고정 강자 농심의 독주

2024년에도 농심은 신라면, 짜파게티, 너구리, 육개장 등

4개의 브랜드를 TOP 10에 올리며 라면 왕좌를 지켰습니다.

전체 시장의 약 56% 이상을 농심이 차지하고 있어

막강한 영향력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2. 매운맛의 진화 – ‘불닭의 해외 파워’

불닭볶음면은 여전히 글로벌 수출 1위 라면으로 자리 잡고 있고,

‘매운맛의 세계화’라는 표현이 나올 만큼,

삼양식품은 K-푸드 대표주자로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

3. 건강, 저칼로리 라면 수요 증가

컵누들, 곤약라면, 채소라면 같은 제품의 판매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고

칼로리, 나트륨, 탄수화물 함량을 줄인 라면에 대한 수요는

2030 여성층을 중심으로 더욱 확대될 것으로 보입니다.

4. 시즌형 제품의 사계절화 전략 성공

팔도 비빔면이 대표적입니다.

과거 여름철 한정 판매가 주류였지만,

이제는 겨울에도 매운맛, 비빔소스 변형 제품으로 매출 확대를 노리고 있습니다.

 

 

서울 최고의 라면 맛집은??


2024년 TOP10 라면 브랜드 해외 진출 및 매출 실적

순위
브랜드명
해외 진출 여부
2024년
해외 매출
해외 매출
비중(%)
주요 수출국
비고
1
신라면
✅ 진출
약 4,600억 원
약 51%
미국, 중국, 일본, 유럽, 동남아
전 세계 100여 개국 수출
2
짜파게티
✅ 진출
약 850억 원
약 32%
미국, 중국, 필리핀
‘짜파구리’ 인기 여전
3
불닭볶음면
✅ 진출
약 1,800억 원
약 69%
중국, 미국, 동남아, 중동
K-매운맛 대표 상품
4
너구리
✅ 진출
약 600억 원
약 27%
일본, 미국, 홍콩
‘신라면+너구리=짜파구리’로 인기 상승
5
진라면
✅ 진출
약 400억 원
약 19%
러시아, 미국, 베트남
해외 한인시장 중심
6
틈새라면
✅ 진출
약 170억 원
약 11%
대만, 일본, 미국
강한 매운맛 수출 실험 중
7
육개장
사발면
✅ 진출
약 90억 원
약 7.5%
일본, 미국
사발면형 제품의 해외 보급 확대
8
컵누들
❌ 미진출
N/A
N/A
국내 전용
건강지향 제품으로 수출 미진
9
비빔면
✅ 진출
약 120억 원
약 12.5%
일본, 대만, 미국
여름 한정 제품 수출
10
튀김우동
✅ 진출
약 70억 원
약 8.2%
동남아, 일본
프리미엄 컵라면 포지셔닝

 

브랜드별 해외 진출 분석 및 특이점

신라면 – 글로벌 대표주자

해외 매출만 4,600억 원, 전체 매출의 절반 이상을 해외에서 벌어들였습니다.

미국에서는 월마트, 코스트코 등 대형 유통망에 입점해 있고,

일본과 중국에서도 라면 브랜드 인지도 1위 수준입니다.

‘K-라면’ 하면 신라면을 떠올릴 정도로 글로벌 브랜드로 자리 잡았습니다.

짜파게티 – 콘텐츠와 함께 수출되는 라면

넷플릭스 <기생충>으로 인한 ‘짜파구리’ 열풍 이후,

여전히 해외에서 꾸준한 판매를 기록 중입니다.

특히 ‘짜왕’과 함께 프리미엄 짜장 라면군 수요가 꾸준히 존재합니다.

불닭볶음면 – K-푸드의 아이콘

삼양식품은 불닭볶음면 하나로 글로벌 기업으로 도약했습니다.

중국, 미국, 동남아뿐 아니라 중동, 유럽까지 수출망이 확대되었고,

일부 국가에서는 현지 법인을 통해 생산/유통까지 진행 중이고,

수출 비중이 무려 69%로 국내보다 해외에서 더 많이 팔리는 브랜드입니다.

4위 너구리 – 조용한 강자

독특한 우동 스타일과 굵은 면발, 해물풍미로 일본과 홍콩에서 특히 반응이 좋습니다.

최근엔 신라면과의 조합 레시피로 글로벌 마케팅도 진행했습니다.

5위 진라면 – 안정적인 한류 라면

오뚜기는 해외 공략에 다소 보수적이었지만, 러시아, 베트남 등

한인 밀집 국가를 중심으로 판매 확대 중이고,

가격 경쟁력으로 ‘가성비 한국 라면’으로 포지셔닝되었습니다.

6위 틈새라면 – 매운맛 테스트 중

일본, 대만, 동남아 등 매운맛에 호기심을 갖는

지역에 파일럿 형태로 수출을 시도하고 있습니다.

아직 대형 수출 규모는 아니지만, MZ세대를 타깃으로 한 마케팅에 주력 중입니다.

7위 육개장 사발면 – 사발면 수출의 선두

컵라면 형태의 육개장 사발면은

미국, 일본 편의점 채널에 진입하며 점차 입지를 넓히고 있습니다.

간편식 수요 증가와 함께, 간단한 조리법이 해외 시장에서 호응을 얻고 있습니다.

8위 컵누들 – 해외 수출 미진

컵누들은 국내 여성 소비자 타깃 제품으로 기획되어

아직 해외 시장에는 진출하지 않았습니다.

건강식을 선호하는 국가에서는 수출 가능성이 있지만,

현재로서는 국내 시장 중심 전략을 유지 중입니다.

9위 비빔면 – 계절 한정 수출

여름철 한정 수요가 크지만,

동남아·대만 등 더운 기후 국가를 중심으로 연중 판매를 시도하고 있습니다.

소스에 대한 현지 입맛 테스트가 필요하지만,

한식 냉라면의 대체재로 가능성은 충분해보입니다.

10위 튀김우동 – 일본식 라면의 정통 포지셔닝

동남아와 일본을 중심으로 프리미엄 컵라면 시장 진입 중이라고 합니다.

우동 스타일이라는 점에서 일본 소비자와 취향이 맞는 시장을 선별 진출하고 있습니다.

 


2024년 라면 해외 수출 시장의 주요 트렌드

1. ‘K-라면’은 이제 고정 수출 상품

10년 전만 해도 한류를 타고 라면 수출이 확장됐다면,

이제는 ‘기본 식품군’으로 라면이 수입되고 있다고 하네요.

특히 신라면, 불닭볶음면은 현지 편의점·마트에서 일본라면과 동급 취급을 받고 있습니다.

2. ‘매운맛’의 세계화

불닭볶음면, 틈새라면 등 극강의 매운맛 라면들이

‘챌린지’형 콘텐츠로 SNS 바이럴을 타며 수요가 폭발 중이고,

유튜브, 틱톡에서 매운라면 먹방이 유행하며, 비정기적인 급성장세가 자주 발생하고 있습니다.

3. 현지화 전략 본격화

삼양식품은 미국 현지 공장을 2024년에 가동 시작, 물류비 절감과 재고 안정화를 꾀했고,

농심은 중국과 미국에 생산 기지를 보유하며 현지 시장 적응도를 높였습니다.

오늘은 저의 최애 푸드 중 하나인

라면에 대해서 심도있는 숫자들을 만나보았습니다^^

브랜드별 매출 순위도 보고 해외판매실적도 보면서

한강에 외국인들이 라면 들고 다니는 모습이

아...이런 이유 때문이구나 하는 것도

이번에 다시 깨달을 수 있었네요.

라면이라는 음식을 만든 사람은...정말

상을 줘야합니다 ㅋㅋㅋ

라면 끓이러 가보겠습니다.

그럼 이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