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건설사 매출 순위 TOP10 해외수주 실적 시공평가 순위까지
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국내 건설사 매출 순위 TOP10 해외수주 실적 시공평가 순위까지

by 둥타니의 신기한 세계 2025. 8. 28.

    [ 목차 ]
반응형

 

 

국내 건설업은 주택 경기, SOC(사회간접자본) 투자, 해외 수주 등 다양한 요인에 따라 매출 변동이 크게 나타납니다.


특히 2024년은 금리 인상과 분양 시장 위축으로 어려움이 있었지만,

일부 대형 건설사는 해외 플랜트·인프라 사업으로 매출을 크게 유지했습니다.

오늘은 2024년 연간 매출 기준 국내 건설사 TOP10 순위를 정리하고,

각 건설사의 주요 특징과 성장 포인트를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1. 2024년 국내 건설사 매출 순위 TOP10

2024년 국내 건설사 매출 순위 TOP10
순위 건설사 2024 매출액 주요 사업 분야 특징
1위 삼성물산 건설부문 약 38조 원 해외 플랜트, 국내 초고층 빌딩, 주택 세계 1위급 시공 능력, 해외 수주 강세
2위 현대건설 약 28조 원 해외 플랜트·토목, 아파트(힐스테이트) 중동·동남아 수주, 친환경 인프라 확대
3위 GS건설 약 22조 원 자이 아파트, 플랜트, 모듈러 건축 주택 브랜드 ‘자이’로 국내 선호도 1위
4위 DL이앤씨 약 19조 원 e편한세상, 플랜트, 석유화학 인프라 주택 안정 매출 + 플랜트 해외 확장
5위 포스코이앤씨(구 포스코건설) 약 18조 원 주택, 플랜트, 친환경 건축 포스코 그룹 친환경·수소 사업 연계
6위 롯데건설 약 15조 원 롯데캐슬, 상업시설, 토목 그룹 유통·물류 개발 프로젝트 중심
7위 대우건설 약 14조 원 푸르지오, 해외 토목·플랜트 중동 인프라 수주 확대, 주택 안정적
8위 SK에코플랜트 약 13조 원 환경·신재생에너지, 주택 친환경 플랜트 전환, 폐기물 리사이클링 사업
9위 현대엔지니어링 약 12조 원 플랜트, 인프라, 주택 해외 화공·플랜트 전문성 강점
10위 호반건설 약 11조 원 아파트, 민간개발, SOC 민간 주택 분양 중심, 공격적 토지 확보

 

 

2. 국내 건설사 TOP10 특징 정리

삼성물산 건설부문 → 글로벌 시장 1위급, 해외 초대형 플랜트 수주 강자

현대건설 → 중동·동남아 인프라 강세, 주택 ‘힐스테이트’ 브랜드 파워

GS건설 → 자이 브랜드 압도적, 모듈러 건축 신사업 확대

 

DL이앤씨 → ‘e편한세상’ 브랜드 기반 안정적, 플랜트 기술력 보유

포스코이앤씨 → 그룹 차원의 수소·친환경 프로젝트 연계

롯데건설 → 상업·복합단지 개발 특화

대우건설 → ‘푸르지오’ 브랜드, 해외 토목·플랜트 균형 성장

SK에코플랜트 → ESG 기반 친환경 건설, 에너지 전환

현대엔지니어링 → 플랜트 엔지니어링 강점, 해외 매출 비중 높음

호반건설 → 민간 분양 시장 강세, 안정적 주택 수익

 

 

 

3. 2024년 건설업계 시장 분석

  1. 해외 수주 확대
    • 중동, 동남아시아, 유럽 인프라 수주 급증
    • 글로벌 원자재 가격 상승 → 플랜트 매출 확대
  2. 국내 주택 경기 둔화
    • 고금리와 미분양 증가로 분양 속도 둔화
    • 대형사 중심으로 브랜드 프리미엄 효과 유지
  3. 친환경·에너지 전환
    • ESG 경영 확대
    • 탄소중립, 신재생에너지 관련 인프라 투자 집중

 

 

4. 자주 묻는 질문(FAQ)

Q1. 매출 기준과 시공능력평가 순위는 다른 건가요?
→ 네. 매출 기준은 실제 연간 매출액 기준이고, 시공능력평가는 국토부가 발주자 신뢰도를 위해 공시하는 지표입니다.

 

Q2. 국내 건설사는 해외 매출이 얼마나 되나요?
→ 삼성물산, 현대건설, GS건설 등 주요 5대 건설사는 해외 매출 비중이 30~50% 이상입니다.

 

Q3. 2025년 건설사 전망은 어떤가요?
→ 주택 시장은 여전히 조정 국면이지만, 해외 인프라와 신재생에너지 수주가 성장 동력으로 작용할 전망입니다.

 

 

5. 2025년 국내 건설사 시공능력평가 순위 vs 매출 순위 비교

시공능력평가 순위는 국토교통부가 매년 발표하며, 발주자가 건설사를 선정할 때 참고하는 공식 지표입니다.
이는 매출과는 달리 공사실적, 경영상태, 기술인력, 신인도 등을 종합 평가한 수치이기 때문에
매출 TOP10과 다소 차이가 존재합니다.

2025년 시공능력평가 순위 vs 2024년 매출 순위 비교
순위 시공능력평가(2025) 매출 순위(2024) 주요 특징 비고
1위 삼성물산 1위 해외·국내 모두 최상위 매출·평가 모두 1위
2위 현대건설 2위 중동·플랜트 강자 순위 동일
3위 GS건설 3위 자이 브랜드 영향력 순위 동일
4위 포스코이앤씨 5위 포스코 그룹 프로젝트 연계 매출보다 한 단계↑
5위 DL이앤씨 4위 e편한세상, 플랜트 역량 매출보다 한 단계↓
6위 대우건설 7위 푸르지오, 해외 인프라 평가 순위 더 높음
7위 롯데건설 6위 그룹 상업시설 연계 순위 비슷
8위 현대엔지니어링 9위 플랜트 전문 매출보다 높은 평가
9위 SK에코플랜트 8위 ESG 기반 친환경 건설 순위 비슷
10위 호반건설 10위 민간 주택 중심 순위 동일

 

 

정리

  • 삼성물산·현대건설·GS건설 → 매출·시공능력 모두 최상위 3강 유지
  • 포스코이앤씨 → 그룹 수주 프로젝트 영향으로 평가 순위↑
  • DL이앤씨 → 매출은 높지만 시공능력 평가는 소폭↓
  • 대우건설·현대엔지니어링 → 해외 플랜트 실적 반영 → 평가 순위 상승

 

 

6. 국내 건설사 해외 수주 실적 분석 (중동·동남아 중심, 2024년 기준)

2024년 국내 건설사들은 국내 주택 분양 둔화로 해외 시장 의존도가 커졌습니다.
특히 중동(사우디, UAE, 카타르), 동남아(베트남, 인도네시아, 필리핀) 지역에서 대규모 프로젝트를 따내며 성과를 냈습니다.

2024년 국내 건설사 해외 수주 실적 (중동·동남아 중심)
건설사 주요 해외 수주 지역 프로젝트 수주 규모
삼성물산 사우디, UAE 네옴시티 인프라, 대형 플랜트 약 10조 원
현대건설 카타르, 쿠웨이트, 베트남 석유화학 플랜트, 지하철 건설 약 8조 원
GS건설 인도네시아, 필리핀 정유·석유화학 플랜트, 고속도로 약 6조 원
DL이앤씨 사우디, 베트남 석유화학 공장, 도시 인프라 약 5조 원
포스코이앤씨 태국, 인도네시아 철강·수소 인프라 약 4조 원
대우건설 이라크, 나이지리아 정유 플랜트, 주택단지 약 3.5조 원
현대엔지니어링 쿠웨이트, 베트남 플랜트 EPC, 신재생 발전소 약 3조 원

 

핵심 요약

  • 삼성물산: 사우디 네옴시티 프로젝트 참여로 대규모 수주 확보
  • 현대건설: 카타르 LNG 인프라 + 베트남 지하철 → 해외 건축 다변화
  • GS건설: 동남아 플랜트 수주 확대, 인프라 개발 진출
  • DL이앤씨: 사우디 플랜트 + 동남아 도시개발로 매출 안정화
  • 포스코이앤씨: 철강·수소 인프라 연계 프로젝트 강점
  • 대우건설: 중동·아프리카 플랜트 집중
  • 현대엔지니어링: EPC 전문성, 중동·동남아 동시 공략

 

2025년 시공능력평가 순위는 매출과 대체로 유사하지만,

해외 플랜트 실적과 그룹 연계 프로젝트에 따라 일부 차이가 발생했습니다.

 

2024년 해외 수주 실적을 보면, **중동(사우디·카타르)**과 **동남아(베트남·인도네시아)**가 핵심 무대였으며,
특히 네옴시티·LNG 인프라·석유화학 플랜트가 주요 먹거리였습니다.

즉, 국내 주택시장 침체에도 불구하고 해외 인프라·에너지 프로젝트

국내 대형 건설사 매출과 시공능력 평가에 큰 영향을 주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오늘은 2025년 시공능력평가 순위와 매출 순위 비교 그리고 국내 건설사 해외 수주 실적 분석을 살펴봤습니다.
국내 주택시장이 조정기에 접어든 지금, 건설사들의 성패는

해외 프로젝트 수주 능력과 ESG 기반 신사업에 달려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