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목차 ]
안녕하세요, 여러분! 오늘은 우리가 일상에서 자주 이용하는 정부24, 온나라 시스템 등을
책임지고 있는 국가정보자원관리원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려고 합니다.
생소하게 느껴질 수 있지만, 사실 우리 일상과 매우 밀접한 기관이랍니다.
1. 국가정보자원관리원이란?
국가정보자원관리원(National Information Resources Service, NIRS)은 행정안전부 소속의 책임운영기관으로, 2017년 7월 26일에 공식 출범했습니다. 본원은 대전광역시 유성구 대덕대로 755에 위치하고 있으며, 대구와 광주에도 분원을 두고 있습니다.
이 기관은 중앙행정기관, 지방자치단체, 공공기관의 정보시스템과 국가정보통신망을 안정적으로 운영하고, 효율적으로 통합·구축 관리하며, 보호·보안 업무를 담당하는 곳입니다. 쉽게 말해, 정부의 디지털 인프라를 책임지는 핵심 기관이라고 할 수 있죠!
💡 핵심 포인트
국가정보자원관리원은 전자정부의 심장부와 같은 역할을 하며, 우리가 일상에서 이용하는 수많은 정부 온라인 서비스의 안정적 운영을 책임지고 있습니다.
2. 국가정보자원관리원의 주요 역할과 업무
국가정보자원관리원은 다양한 업무를 수행하고 있는데요, 크게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습니다.
정보시스템 운영 및 관리
중앙행정기관과 지방자치단체의 정보시스템을 통합 운영하며, 시스템의 안정성과 효율성을 높이는 역할을 합니다. 24시간 365일 무중단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디지털안전상황실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G-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G-클라우드는 중앙행정기관의 전자정부 서비스를 위해 클라우드 기반 기술과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IaaS, PaaS, SaaS를 모두 포괄하며, 현재 수백 개의 업무시스템이 클라우드 기반으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사이버 안전 및 보안
정보보호 기획, 침해 대응 및 예방 정책을 수립하고 실행합니다. 사이버장애지원단을 운영하여 정부 시스템에 발생하는 각종 장애에 신속하게 대응합니다.
정보자원 통합 관리
정보자원 기획, 설계, 기반 구축 등을 통해 정부 정보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클라우드 정책을 수립합니다.
3. 국가정보자원관리원의 주요 센터 현황
국가정보자원관리원은 멀티센터 체계를 운영하여 한 곳에 문제가 생겨도 다른 센터에서 서비스를 계속할 수 있도록 안정성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4. 국가정보자원관리원이 관리하는 주요 시스템
국가정보자원관리원은 우리가 일상에서 자주 사용하는 다양한 정부 시스템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1등급 시스템 (핵심 서비스)
- 정부24: 정부 민원 서비스 통합 포털
- 온나라 시스템: 정부 기관의 전자문서 결재 및 업무 관리 시스템
- 모바일 신분증: 스마트폰으로 신분증을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
- 국민신문고: 국민의 제안과 민원을 접수하는 시스템
- 인터넷우체국: 우편 및 택배 서비스 온라인 플랫폼
2등급 시스템 및 기타
- 안전디딤돌 (재난안전 정보 제공)
- 국민재난안전포털
- 각 중앙행정기관 및 지방자치단체의 행정 시스템
- 공공기관의 다양한 온라인 서비스
📌 알아두면 좋아요!
2025년 9월 기준, 국가정보자원관리원은 1등급 12개, 2등급 58개를 포함한 수백 개의 정부 시스템을 운영·관리하고 있습니다.
5. 보관하고 있는 자료와 데이터
국가정보자원관리원은 방대한 양의 정부 데이터를 안전하게 보관하고 관리합니다.
정부 행정 문서 및 전자결재 자료
온나라 시스템을 통해 중앙행정기관과 지방자치단체의 모든 전자문서, 결재 문서, 업무 기록이 저장됩니다.
국민 민원 및 서비스 데이터
정부24를 통한 각종 민원 신청 내역, 증명서 발급 기록, 국민신문고를 통한 민원 접수 내역 등이 보관됩니다.
국가 재난안전 정보
안전디딤돌, 국민재난안전포털 등을 통한 재난·안전 관련 데이터, 대국민 알림 정보가 저장됩니다.
공공 데이터 및 통계 자료
각 정부 부처와 공공기관에서 생산하는 통계 자료, 정책 자료, 연구 자료 등이 통합 관리됩니다.
디지털 신원 정보
모바일 신분증 등 디지털 신원 확인 시스템의 데이터가 암호화되어 안전하게 보관됩니다.
6. 데이터 보안 및 보호 체계
국가정보자원관리원은 사이버안전과를 통해 정보보호 기획, 침해 대응 및 예방 정책을 수립하고 실행합니다. 또한 데이터결합센터를 운영하여 개인정보를 보호하면서도 공공데이터 활용도를 높이고 있습니다.
7. 최근 이슈와 발전 방향
멀티센터 체계 전환
기존 대전·광주 2개 센터 체계에서 대구센터와 백업센터를 추가한 4개 센터 체계로 전환하여 안정성을 크게 강화했습니다.
민관협력형 클라우드(PPP) 도입
공공업무망이 연결된 국정자원 내에 민간 클라우드 서비스를 유치하여 정부 시스템의 유연성과 확장성을 높이고 있습니다.
AI 및 신기술 도입
초거대 AI, 클라우드 네이티브 등 신기술 도입을 위한 인프라를 구축하고, 공공부문의 디지털 혁신을 선도하고 있습니다.
정부원격근무서비스(GVPN) 운영
코로나19 이후 정부 기관의 안전한 재택근무를 지원하는 GVPN 서비스를 제공하여 업무 연속성을 보장합니다.
🎯 비전과 목표
미션: 국민이 쉽고 안전하게 사용하는 디지털정부 플랫폼 제공
비전: 인프라에서 서비스까지, 스마트 클라우드 전문기관
8. 국가정보자원관리원의 역사
국가정보자원관리원의 발전 과정을 간단히 살펴보면:
- 2005년 11월: 정보통신부 소속으로 정부통합전산센터 설립
- 2007년 11월: 광주정부통합전산센터 개소
- 2011년 12월: G-Cloud 시스템 구축
- 2016년 3월: 책임운영기관으로 지정
- 2017년 7월: 행정안전부 소속으로 변경, 국가정보자원관리원으로 명칭 변경
- 2024년: 대구센터 가동, 멀티센터 체계 구축
- 2025년: 백업센터 개소 예정, 4개 센터 체계 완성
20년에 가까운 시간 동안 우리나라 전자정부의 중심축으로서 끊임없이 발전해 왔습니다.
9. 일반 국민에게 미치는 영향
국가정보자원관리원이 우리 일상에 미치는 영향은 생각보다 큽니다.
편리한 행정 서비스
정부24를 통해 집에서도 각종 증명서를 발급받고, 민원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주민센터를 직접 방문하지 않아도 되니 시간과 비용을 절약할 수 있죠.
모바일 신분증 이용
스마트폰으로 신분증을 제시할 수 있어 편의점, 은행 등에서 신분 확인이 필요할 때 유용합니다.
안전한 재난 정보 제공
안전디딤돌 앱을 통해 실시간 재난 정보를 받아볼 수 있어 위급 상황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습니다.
투명한 행정 참여
국민신문고를 통해 정부 정책에 대한 의견을 제시하고, 민원을 신속하게 처리받을 수 있습니다.
10. 자주 묻는 질문 (FAQ)
Q1. 국가정보자원관리원과 국가정보원은 같은 기관인가요?
A. 아닙니다. 국가정보원(NIS)은 국가 안보와 정보 업무를 담당하는 기관이고, 국가정보자원관리원(NIRS)은 행정안전부 소속으로 정부의 전산 시스템을 관리하는 기관입니다.
Q2. 일반 국민도 국가정보자원관리원의 서비스를 직접 이용할 수 있나요?
A. 국가정보자원관리원은 정부 시스템의 인프라를 관리하는 기관으로, 국민은 정부24, 모바일 신분증 등의 서비스를 통해 간접적으로 이용하게 됩니다.
Q3. 국가정보자원관리원에 보관된 개인정보는 안전한가요?
A. 네, 다층 보안 체계, 24시간 모니터링, 멀티센터 백업 시스템 등을 통해 개인정보를 철저하게 보호하고 있습니다.
Q4. 정부 시스템에 장애가 발생하면 어떻게 대응하나요?
A. 디지털안전상황실과 사이버장애지원단이 24시간 모니터링하며, 장애 발생 시 즉시 대응하여 서비스를 복구합니다.
Q5. 국가정보자원관리원에 입사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A. 국가정보자원관리원은 책임운영기관으로, 정기적으로 공무원 및 직원 채용 공고를 냅니다. 행정안전부 또는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홈페이지에서 채용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오늘은 국가정보자원관리원의 역할과 업무, 그리고 보관하고 있는 자료들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았습니다.
다음에 더 유익한 정보로 찾아뵙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