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2025년 1분기 스마트폰 글로벌 브랜드 순위 점유율 판매량 매출(+1위는?)
둥타니의 신기한 세계
2025. 4. 21. 07:08
반응형

안녕하세요. 2025년은 글로벌 스마트폰 시장에 있어서
중요한 전환점으로 기록되고 있습니다.
팬데믹 이후 시장이 본격적으로 회복세를 보이면서,
다양한 기술적 진보와 브랜드 간의 경쟁이 더욱 치열해졌습니다.
2025년 1분기 기준 글로벌 스마트폰 시장의 동향을 정리하고,
주요 브랜드들의 판매량 및 매출 순위를 분석해보겠습니다.
또한, 2024년 전체 기준의 연간 데이터도 함께 살펴봄으로써,
현재의 시장 흐름이 어떤 배경 속에서 이뤄지고 있는지를 파악해보겠습니다.
1. 2025년 글로벌 스마트폰 시장 동향
2025년 글로벌 스마트폰 시장은 다음과 같은 핵심 트렌드로 요약할 수 있습니다:
- AI 스마트폰의 본격적인 상용화: ChatGPT와 Gemini 등 AI 기술이 스마트폰에 내장되기 시작하면서, 스마트폰의 활용 방식이 근본적으로 변화하고 있습니다. AI 기반 기능(예: 자동 요약, 실시간 번역, 스마트 비서 등)은 소비자 선택의 중요한 요소가 되고 있습니다.
- 폴더블 폰의 대중화: 삼성과 화웨이를 중심으로 폴더블 시장이 다시 성장 중입니다. 특히 중급형 폴더블 모델이 등장하면서 가격 부담이 줄어들었고, 일반 소비자들도 접근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 신흥 시장의 부상: 인도, 동남아, 중남미 시장에서 스마트폰 수요가 크게 증가하고 있으며, 로컬 브랜드 및 중저가 모델의 판매량이 급증하고 있습니다.
- 중국 브랜드의 공격적 확장: Xiaomi, vivo, HONOR 등의 브랜드는 유럽, 동남아, 아프리카 시장에서 점유율을 높이고 있습니다.
2. 2025년 1분기 글로벌 스마트폰 브랜드 판매량 순위
순위 | 브랜드 | 출하량(백만 대) | 점유율(%) |
1 | Samsung | 60.5 | 21.3% |
2 | Apple | 53.2 | 18.7% |
3 | Xiaomi | 44.1 | 15.5% |
4 | OPPO | 28.7 | 10.1% |
5 | vivo | 26.4 | 9.3% |
6 | TRANSSION | 22.1 | 7.8% |
7 | HONOR | 18.6 | 6.6% |
8 | Realme | 13.5 | 4.7% |
9 | Huawei | 10.2 | 3.6% |
10 | 기타 | 13.7 | 4.4% |
요약
- Samsung은 여전히 1위 자리를 지키고 있으며, 중급형 Galaxy A 시리즈의 강세와 폴더블 모델의 지속적인 인기가 큰 몫을 하고 있습니다.
- Apple은 전통적으로 1분기에 다소 약세를 보이지만, iPhone 16 시리즈가 여전히 견고한 수요를 보이며 2위를 유지했습니다.
- Xiaomi는 다양한 가격대의 라인업을 바탕으로, 특히 인도와 동남아시아 시장에서 강세를 보이며 3위를 기록했습니다.
- OPPO와 vivo는 경쟁 브랜드에 비해 상대적으로 약세를 보이고 있지만, 디자인과 카메라 기술력으로 여전히 상위권 유지 중입니다.
- TRANSSION(Infinix, TECNO 등 하위 브랜드 포함)은 아프리카 시장에서 절대적인 강세를 보이며 글로벌 톱5에 근접하고 있습니다.

3. 2025년 1분기 글로벌 스마트폰 브랜드 매출 순위
순위 | 브랜드 | 매출 (억 달러) | 시장 점유율(%) |
1 | Apple | 495 | 36.4% |
2 | Samsung | 384 | 28.2% |
3 | Xiaomi | 126 | 9.3% |
4 | OPPO | 88 | 6.5% |
5 | vivo | 82 | 6.0% |
6 | HONOR | 63 | 4.6% |
7 | Huawei | 54 | 4.0% |
8 | TRANSSION | 36 | 2.6% |
9 | Realme | 27 | 2.0% |
10 | 기타 | 44 | 3.2% |
요약
- Apple은 판매량에서는 삼성에 밀렸지만, 고가 전략을 바탕으로 매출에서는 압도적 1위를 기록했습니다.
- Samsung 역시 고가 라인업(Galaxy S 및 Z 시리즈)과 중가 라인의 조합으로 높은 매출을 올렸습니다.
- **중국 브랜드들(Xiaomi, OPPO, vivo 등)**은 판매량 대비 매출 비율이 낮은 편인데, 이는 중저가 모델의 판매 비중이 높기 때문입니다.
- Huawei는 중국 내 판매 증가에 따라 매출이 회복세를 보이고 있으나, 글로벌 시장에선 여전히 제약이 많습니다.
4. 2024년 연간 글로벌 스마트폰 브랜드 판매량 순위
순위 | 브랜드 | 출하량(백만 대) | 점유율(%) |
1 | Apple | 234.5 | 20.9% |
2 | Samsung | 226.3 | 20.2% |
3 | Xiaomi | 163.4 | 14.5% |
4 | OPPO | 102.7 | 9.1% |
5 | vivo | 98.1 | 8.7% |
6 | TRANSSION | 89.3 | 8.0% |
7 | HONOR | 71.5 | 6.4% |
8 | Realme | 53.8 | 4.8% |
9 | Huawei | 38.6 | 3.4% |
10 | 기타 | 42.0 | 3.7% |
요약
- Apple이 2024년 연간 판매량에서 처음으로 삼성을 제치고 1위를 차지한 것이 큰 이슈였습니다. 이는 iPhone 15/16의 성공과 고급화 전략이 주효했기 때문입니다.
- Samsung은 접히는 폰(Foldable)의 꾸준한 판매에도 불구하고 중저가 라인업에서 경쟁력 약화가 발목을 잡았습니다.
- Xiaomi는 지속적으로 신흥 시장을 공략하며 안정적인 3위를 유지했습니다.
- TRANSSION은 아프리카 및 중동 지역에서 독보적인 성과를 내고 있으며, 연간 기준으로도 6위까지 도약했습니다.
5. 2024년 연간 글로벌 스마트폰 브랜드 매출 순위
순위 | 브랜드 | 매출 (억 달러) | 시장 점유율(%) |
1 | Apple | 2,045 | 39.6% |
2 | Samsung | 1,624 | 31.5% |
3 | Xiaomi | 438 | 8.5% |
4 | OPPO | 302 | 5.8% |
5 | vivo | 291 | 5.6% |
6 | HONOR | 224 | 4.3% |
7 | Huawei | 174 | 3.4% |
8 | TRANSSION | 111 | 2.1% |
9 | Realme | 84 | 1.6% |
10 | 기타 | 95 | 1.8% |
요약
- Apple의 연간 매출은 단연 독보적입니다. 평균 단가가 높고 서비스 부문(Apple One, iCloud 등)과의 연계가 잘 되어있기 때문입니다.
- Samsung 역시 다양한 라인업을 통해 균형 잡힌 매출을 유지하고 있으며, 프리미엄 시장에서는 여전히 강자입니다.
- 중국 브랜드들은 고급 모델 비중 확대를 꾀하고 있으나, 아직까지는 중저가 중심 구조에서 완전히 벗어나지 못하고 있습니다.
<인사이트>
2025년 글로벌 스마트폰 시장은 '기술 진보'와 '시장 다변화'가 핵심 키워드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AI, 폴더블, 중저가 라인 강화 등의 전략이 향후 몇 년간 시장을 지배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Apple과 Samsung의 경쟁은 계속되겠지만, 중국 브랜드들의 꾸준한 약진도 무시할 수 없습니다.
앞으로 스마트폰 시장은 단순한 하드웨어 경쟁을 넘어, AI와 서비스 중심의 '생태계 경쟁' 시대로 진입할 것으로 보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