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분기 기준 국내 모바일 앱 사용 순위 (+1위는 어디? 카카오?)
안녕하세요!
2025년도에는 어떤 모바일 앱이 가장 많은 사랑을 받았을까요~?^^
출근길에 가장 많이 사용하는 앱을 고민해보면,
답이 나오지 않을까요?~~?
오늘은 저도 궁금해서 찾아본 국내 모바일 앱 사용 순위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인기 앱 총정리와 사용자 트렌드 리포트
2025년 1분기, 대한민국 모바일 앱 시장의 변화는
그 어느 때보다도 빠르게 진행되고 있습니다.
Z세대의 부상, AI 기술의 본격적인 적용,
그리고 ‘슈퍼앱’으로 불리는 다기능 플랫폼들의
성장까지 모든 변화가 앱 사용 행태에 영향을 주고 있죠.
이번 글에서는 국내 사용 데이터를 바탕으로
2025년 1분기 모바일 앱 사용 순위와
인기 앱들을 완벽 분석해 보겠습니다.
출처
아이지에이웍스, 와이즈앱, 구글 플레이스토어, 앱스토어
분석 항목 : 월간 활성 사용자 수(MAU) / 평균 사용 시간 /
사용자 평점 및 리뷰 / 앱 설치 수 및 성장률
2025년 1분기 국내 앱 사용 TOP 10 상세 분석
순위
|
앱 이름
|
MAU(예상치)
|
주요 기능
|
분석 요약
|
1
|
YouTube
|
약 4,200만
|
영상 스트리밍, Shorts
|
- 대한민국 ‘시간 도둑 1위’. 쇼츠(Shorts)의 성장으로 Z세대까지 완전 흡수.
- 사용자당 평균 시청 시간 약 30시간+/월, 유튜브 프리미엄 구독자도 꾸준히 증가.
|
2
|
카카오톡
|
약 4,100만
|
메신저, 오픈채팅, 선물하기
|
- ‘국민 앱’. 설치율 거의 90% 이상. 채팅뿐 아니라 ‘카카오 선물하기’, ‘비즈니스 톡채널’ 등 다기능 강화. - 특히 40대 이상 사용 비율이 2024년 대비 8% 상승.
|
3
|
네이버
|
약 3,900만
|
검색, 뉴스, 웹툰, 쇼핑
|
- 콘텐츠 허브. 스마트스토어와 블로그/카페를 통한 커뮤니티 성격도 강화.
- ‘네이버 MY’ 개인 맞춤 기능 활용 ↑. 네이버페이 연동으로 커머스 기능도 동반 성장.
|
4
|
인스타그램
|
약 2,800만
|
사진/영상 SNS, 리얼스
|
- Z세대·MZ세대 필수 앱. 사용자 중 10~30대가 70% 이상 차지.
- 소비 시간 ↑, 쇼핑 기능도 점차 활발. 커뮤니티보단 '브랜딩' 도구로 활용되는 경향.
|
5
|
쿠팡
|
약 2,600만
|
이커머스, 로켓배송
|
- 쇼핑 앱 중 MAU 1위. 와우회원 충성도 높음. ‘AI 추천 상품’, -‘쿠팡라이브’ 등 커머스와 콘텐츠 결합 강화 중. 평균 구매 빈도 업계 최고 수준.
|
6
|
배달의민족
|
약 2,100만
|
음식 배달, 포장, 쿠폰
|
- 배달앱 1위. 멤버십 확대와 지역 기반 혜택 전략 강화.
-주문 외에도 "배민장부", "배민마켓" 등 생활 앱 기능 실험 중.
|
7
|
토스
|
약 2,000만
|
금융, 송금, 투자, 보험
|
- 슈퍼앱으로 진화 중. 토스뱅크 + 카드 추천 + 투자로 사용 시간 급증.
- MAU 성장률 연간 20% 이상. 개인 맞춤 금융관리 기능이 강점.
|
8
|
넷플릭스
|
약 1,800만
|
스트리밍, 오리지널 콘텐츠
|
- 영상 앱 중 YouTube 다음. 한국 오리지널(K-콘텐츠) 제작 성공이 견인.
- 2030 여성 사용자층 비율 높음.
|
9
|
삼성 인터넷 / Chrome
|
약 1,600만
|
브라우징, 검색
|
- 기본 앱의 저력. Galaxy 기본 브라우저와 Chrome 모두 1,000만 이상 사용자 보유.
- 보안기능과 광고 차단 기능 강화.
|
10
|
당근마켓
|
약 1,400만
|
중고거래, 지역 커뮤니티
|
- 커뮤니티형 중고거래 앱. 사용자 중 60%가 30~50대 여성.
- 지역 기반 소통·모임 기능 인기 상승. 사용시간 월 평균 10시간 이상.
|
역시나 1위는 유튜브였네요^^
확실히 유튜브가 우리 생활에 너무나
많은 지분을 차지하고 있다는 생각이 듭니다.
특히, 국민 메신저인 카카오톡을 넘어선 것을 보면 엄청난 일이죠.
어떻게 보면, 전 연령대를 통틀어서
가장 많이 활용하고 있기 때문에 유튜브가 1위가 되지 않았을까
생각하고 있습니다.
카테고리별 앱 분석 요약표 (2025년 1분기 기준)
카테고리
|
앱 이름
|
주요 특징
|
사용자층
|
트렌드 키워드
|
SNS & 커뮤니케이션
|
카카오톡
|
- 전 국민적 사용률
- 선물하기, 오픈채팅 등 확장
기능
|
전 연령층
|
커머스 연동, 톡채널 활성화
|
인스타그램
|
- Reels 중심 짧은 영상
- 개인 브랜딩 & 커머스 강화
|
10~30대
|
리얼스 소비, 감성 SNS, 쇼핑 연동
|
|
TikTok
|
- Z세대 중심 짧은 영상 콘텐츠
- 브랜드/크리에이터 협업 증가
|
10~20대
|
실시간 트렌드, 챌린지 콘텐츠
|
|
영상 & 엔터테인먼트
|
YouTube
|
- 사용 시간 1위
- Shorts로 Z세대 유입 확대
|
전 연령층
|
짧은 영상, 유료 구독 증가
|
넷플릭스
|
- 오리지널 콘텐츠 경쟁력
- K-콘텐츠 인기 지속
|
20~40대
|
다회 시청 유도, 구독형 모델
|
|
TVING / Wavve
|
- 국내 콘텐츠 특화
- 콘텐츠 독점으로 사용자 락인
|
20~40대
|
오리지널 강화, 실시간 방송
|
|
커머스 & 쇼핑
|
쿠팡
|
- 로켓배송, 와우회원 혜택 중심
- AI 기반 추천 강화
|
전 연령층
|
빠른 배송, 스마트 커머스
|
네이버 쇼핑
스마트스토어
|
- 검색+쇼핑 통합
- 셀러와 사용자의 양방향 성장
|
20~50대
|
쇼핑 포털화, 맞춤 추천
|
|
당근마켓
|
- 중고거래 + 지역 커뮤니티
- 사용시간 급상승
|
30~50대
|
지역 소셜, 로컬 콘텐츠 강화
|
|
금융 & 생산성
|
토스
|
- 송금, 투자, 보험 등 금융 통합
- 토스뱅크 연동으로 사용 ↑
|
20~40대
|
금융 슈퍼앱, 개인화 서비스
|
카카오뱅크
|
- 대출·계좌 개설 등 UX 우수
- 모바일 금융 진입장벽 낮음
|
20~40대
|
간편 금융, 카카오톡 연동
|
|
네이버페이 / 삼성페이
|
- 결제+적립+멤버십 기능 통합
- 오프라인 결제 확대
|
전 연령층
|
간편결제, 보안·인증 강화
|
앱 사용 트렌드 요약 (2025년 1분기 기준)
항목
|
트렌드 요약
|
짧은 콘텐츠 소비
|
Shorts, Reels, TikTok 중심으로 전환
|
멀티기능 앱 선호
|
하나의 앱에 여러 기능 탑재 (ex. 토스, 네이버)
|
AI 기반 추천 시스템
|
사용자 맞춤 콘텐츠 & 상품 노출
|
구독형 모델 강화
|
YouTube Premium, Netflix 등 유료 사용자 증가
|
지역 커뮤니티 강화
|
당근마켓, 맘카페 등 로컬 기반 플랫폼 활성화
|
사용자 성향 변화 포착 (2025년 1분기 기준)
세대 구분
|
주 사용 앱
|
주요 사용 목적
|
콘텐츠 유형
|
특징적인 행동 패턴
|
Z세대
(10대 ~ 20대 초반)
디지털 네이티브
|
- TikTok
- YouTube Shorts
- Instagram
- 디스코드(Discord)
- 스레드(Thread)
|
- 짧은 영상 소비
- 자기표현 & 소통
- 온라인 커뮤니티 활동
|
- 숏폼 콘텐츠
- 필터/이펙트 활용 사진
- 밈(meme),
챌린지 콘텐츠
|
- 하루 앱 사용량 가장 많음
- 영상 기반 검색
(유튜브 검색 활용)
- “익명성+공감” 중요시
- 피드 대신 실시간 스토리·DM 활용 빈도 높음
|
밀레니얼 세대
(20대 후반 ~ 30대)
균형 잡힌 실용형
|
- 토스
- 네이버
- 카카오뱅크
- 넷플릭스
- 유튜브
|
- 금융 관리
- 콘텐츠 스트리밍
- 정보 검색 & 일정 관리
|
- 롱폼 콘텐츠
- 뉴스·리뷰 콘텐츠
- 웹드라마, 시리즈물
|
- 앱 다중 사용률 높음
- 생산성+엔터테인먼트
균형 추구
- 구독 서비스 적극 이용
- 콘텐츠 소비 → 공유 → 저장 → 쇼핑으로 연결
|
3040+ 세대
(40대 이상)
생활 중심 실용파
|
- 쿠팡
- 네이버 쇼핑
- 당근마켓
- 삼성 인터넷 / Chrome
- 카카오톡
|
- 쇼핑
- 정보 검색
- 커뮤니티 활동 (맘카페 등)
|
- 상품 후기
- 정보형 블로그
- 지역 소식 콘텐츠
|
- 앱 적응은 느리지만
충성도 높음
- 모바일 브라우저 활용도 높음
- "실속형 소비 + 간편성" 추구
- 텍스트 기반 콘텐츠에 익숙
|
"인사이트 요약"
Z세대는 "보는 것"보다 "보여주는 것"에 익숙하며,
영상 콘텐츠를 통해 자기 표현을 적극적으로 시도합니다.
밀레니얼은 ‘생산성과 여가의 균형’에 중점, 정보를 효율적으로 처리하고,
구독 서비스를 통해 깊이 있는 콘텐츠를 소비합니다.
3040세대는 실용적 앱과 브라우저 기반 콘텐츠 선호,
특히 쿠팡, 네이버 쇼핑, 당근마켓처럼 ‘생활 밀착형 앱’ 사용률이 높습니다.
2025년도 1분기 국내 앱의 사용 순위를
보신 소감은 어떠신가요?^^
정말로 제 핸드폰에 대부분 설치되어 있는 앱들이었네요.
그만큼 우리 생활에 밀접한 앱들이
많이 나왔다는 얘기겠지요 ㅎㅎ
이번 기회에 스마트폰을 보고
진짜 나는 얼마나 폰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있는 사람인가를
한 번 확인해볼 수 있는 시간이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