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2025년 보조배터리 기내 반입 규정 완벽 정리(+항공사별 규정, 보관 방법까지)

둥타니의 신기한 세계 2025. 4. 14. 11:20
반응형

 

안녕하세요! 최근 사건 사고로 보조배터리 관련해서도 시끌시끌하죠?

해외여행, 출장, 국내선 비행까지...
여행 가방에 꼭 챙기는 아이템 중 하나는 보조배터리죠.


하지만 비행기 탈 때 무작정 가방에 넣으면 큰일 날 수도 있습니다.
기내 반입 금지, 위탁수하물 불가, 용량 제한 등 규정이 꽤 까다롭기 때문이에요.

 

2025년 현재, 전 세계적으로 리튬이온 배터리 규제는 강화되고 있으며,
우리나라 포함 주요 항공사들의 규정도 점점 더 엄격해지는 추세입니다.
오늘은 어렵고 복잡한 항공 규정을 알기 쉽게, 정확하게, 여행 전에 꼭 필요한 꿀팁까지 모아 정리해드리겠습니다.


왜 보조배터리는 규제 대상일까?

보조배터리(=리튬이온 배터리)는 충격, 과열, 파손 시 화재 위험이 높기 때문에
**항공사 및 ICAO(국제민간항공기구)**에서는 엄격한 규정을 두고 있어요.

실제로 2024년과 2025년에도 기내에서 발화한 전자기기 화재 사이 세계적으로 수건 발생하면서
보조배터리 규정을 더 강화하려는 움직임도 있는 상황이죠.

 

 

 

 

👉  대한민국 정책 브리핑_보조배터리 관련 정책 안내


2025년 기준 보조배터리 기내 반입 규정 요약

구분 기내 반입 위탁 수하물 용량 제한 제한개수 비고
100Wh 이하 ✅ 허용 ❌ 금지 최대 27,000mAh (3.7V 기준) 제한 없음 (보통 2개 권장) 일상용 보조배터리 대부분 해당
100~160Wh ✅ 허용 (항공사 승인 필요) ❌ 금지 약 27,000~43,000mAh 최대 2개까지 대용량 고속충전용 배터리
160Wh 초과 ❌ 반입 불가 ❌ 수하물 불가 - - 산업용 장비 등

*Wh(Watt-hour) 계산법
보조배터리 용량(mAh) × 전압(V) ÷ 1000 = Wh
(ex. 10,000mAh × 3.7V ÷ 1000 = 37Wh)


항공사별 보조배터리 규정 (2025년)

항공사 100Wh 이하 100~160Wh 160Wh 초과
대한항공 O (무제한) O (최대 2개, 사전 신청) X
아시아나항공 O O (사전 승인 필요) X
제주항공 O O (2개까지 가능) X
진에어 O O (승인 필수) X
에어부산/에어서울 O O X
항공사 공통 위탁 수하물 ❌ 불가 기내에만 소지 가능 기내/수하물 모두 불가

팁:

  • 100Wh 이하 보조배터리는 거의 대부분 기내 반입 가능하니 큰 걱정은 없어요.
  • **고속 충전용(30,000mAh 이상)**은 Wh 확인 필수, 100Wh 초과면 사전 승인 필요합니다.

보조배터리 정책 안내 인포그래픽 by 국토교통부


자주 하는 실수 TOP 5

1️⃣ 보조배터리를 위탁 수하물에 넣음
→ 공항 검색대에서 100% 압수, 또는 호출 당해요.

2️⃣ 용량 표기가 없는 보조배터리
→ Wh 미표기 제품은 기내 반입 거부될 수 있음 (특히 외산 저가형 제품)

3️⃣ 대용량 배터리 3개 이상 들고 감
→ 100~160Wh는 2개까지만 허용, 초과 시 반입 불가

4️⃣ USB 충전기기와 혼동
→ 충전 어댑터는 규제 없음! 배터리 내장된 제품만 주의

5️⃣ 배터리가 내장된 전동킥보드, 전동휠 동반
대부분 160Wh 초과, 기내 반입 및 위탁 모두 불가


이런 제품은 어떻게 될까?

제품명 반입 가능 여부 비고
10,000mAh 보조배터리 ✅ 가능 대부분 통과
30,000mAh 보조배터리 ✅ 가능 (사전 승인 필요) 약 111Wh 수준
전동 킥보드 ❌ 불가 대부분 160Wh 초과
전자담배 ✅ 가능 (배터리 분리 보관) 액상량도 규정 있음
드론 배터리 ✅ 가능 (Wh 기준 동일 적용) 고용량은 사전 신고 필수

 


궁금한 Q&A

Q1. 100Wh 이하 배터리는 몇 개까지 가져갈 수 있나요?

 

이론상 제한 없음, 하지만 대부분 항공사에서 2~3개 정도 권장합니다.

Q2. 배터리가 내장된 캐리어는 괜찮나요?

탈착형 보조배터리면 기내 반입 OK. 내장형은 반입 거부될 수 있어요. 분리 가능한 모델인지 꼭 확인!

Q3. 해외 항공사는 기준이 다르지 않나요?

대부분 ICAO 기준(국제 표준)을 따르기 때문에 큰 차이는 없지만, 일부 항공사는 100Wh 초과를 아예 금지하기도 합니다.
항공권 예매 후 해당 항공사 홈페이지에서 반입 규정 꼭 확인하세요.


관련 뉴스 기사

  1. 중앙일보 – 보조배터리 기내반입 규정 강화 움직임 (2025.02)
  2. 세계일보 배터리 화재 年5회·미국선 주2회나…기내 반입 규정 바뀌나 [뉴스+]
  3. 이코노미스트기내 화재 원인은 보조배터리?...5년새 13건 있었다

2025년 3월부터 적용된 보조배터리 기내 보관 방법 (25년 4월 최신 기준)

항목 변경 전 2025년 3월 이후 변경 사항
기내 보관 위치 휴대 수하물에 보관 좌석 하단 또는 기내 선반에 보관 권장
보관 상태 아무 가방에 보관 가능 외부 단자 노출 금지 / 전용 파우치 권장
전원 차단 차단 권고 차단 필수 / 전원 버튼 보호 조치 필요
포장 기준 개별 포장 권장 금속류(동전, 열쇠)와 접촉 금지 명문화
용량 표기 표기 권장 Wh 또는 mAh 표기 필수 (표기 없으면 반입 제한)
100~160Wh 배터리 항공사 승인 후 반입 가능 사전 전자 신고 필수 + 승인 메일 소지
160Wh 초과 배터리 반입 불가 위탁·기내 모두 반입 금지 명문화

 


핵심 정리 : 이건 꼭 지키세요!

 

1. 반드시 기내 반입 (위탁 X)

  • 보조배터리는 무조건 **기내 수하물(백팩 등)**에 보관
  • 위탁 수하물에 넣으면 검색대에서 압수 또는 탑승 지연 가능성

2. 단자가 드러나지 않도록 포장

  • 비닐 지퍼백, 파우치, 원래 포장 등으로 단자 보호
  • 다른 금속물과 접촉하지 않도록 따로 분리해 넣기

3. 전원 차단 상태 유지

  • 버튼 눌림 방지를 위해 보조배터리 전원 차단
  • 자동 켜짐 방지용 버튼 잠금 기능 사용 또는 절연 스티커 부착도 좋음

4. 제품 표기 확인

  • 보조배터리 외관에 용량(Wh 혹은 mAh) + 전압(V) 표시가 반드시 있어야 함
  • 표기 없을 경우 탑승 불가 가능성 있음

 

오늘은 2025년 3월부터 적용된 보조배터리 기내 반입 규정과 보관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해외여행을 갈 때 필수로 가져가는 용품이지만, 위험도도 높아서 생명에 직결되는 문제이다보니

꼭 한 번 제대로 정독하고, 모든 사람들에게 제대로된 지식이 전달됐으면 좋겠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