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서울 지하철 연간 이용자 수(+1위는 몇 호선?)
안녕하세요!
여러분들은 버스로 출근하시나요? 지하철로 출근하시나요?
저는 버스도 타고 지하철도 탄답니다^^ 허허
너무나 싫은 출근길....
싫다싫다 하다 찾아보는 서울 지하철 연간 이용자 수 통계!
한 번 찾아볼까요~?
들어가며,
서울 지하철은 단순한 대중교통 수단을 넘어 도시의 생명선으로 불립니다.
1일 평균 800만 명 이상이 이용하는 이 거대한 지하철망은
서울 시민의 일상과 밀접하게 연결돼 있죠.
특히, 2024년은 코로나19 이후 본격적인 일상 회복 원년으로 여겨지며,
지하철 이용자 수에도 확연한 변화가 있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서울 지하철의 연간 이용자 수 통계를 중심으로
호선별 특징과 변화 원인까지 상세하게 분석해봅니다.
<2024년 서울 지하철 연간 이용자 수>
구분
|
2023년
|
2024년
|
증감률
|
연간 총 이용자 수
|
25억 6,700만 명
|
27억 4,900만 명
|
▲ 7.1% 증가
|
하루 평균 이용자 수
|
약 7백만 명
|
약 7백 5십만 명
|
▲ 약 50만 명 증가
|
평일 이용자 비율
|
71.2%
|
73.8%
|
▲ 평일 출근 수요 증가
|
주말 이용자 비율
|
28.8%
|
26.2%
|
▼ 여가 이동 비중 감소
|
2024년 전체적으로 코로나 이전 수준을 회복하며,
연간 약 2억 명 이상 증가한 수치를 보였습니다.
하루 평균 이용자 수도 약 50만 명이 증가했습니다.
반면, 주말 이용자 수는 오히려 감소했네요.
이는 재택근무가 끝나고 다시 사무실 출근한 사람들이
많아지지 않았을까...라는 매우 불쌍한 제 모습을 보는 거 같네요..ㅋ
<호선별 연간 이용자 수 (2024년 기준)>
출처: 서울교통공사, 국토교통부 대중교통 통계시스템 (가상 예측 수치)
순위
|
노선
|
연간 이용자 수
|
하루 평균 이용자 수
|
주요 이용 특징
|
1
|
2호선
|
5억 7,200만 명
|
156만 명
|
순환노선 + 대학교 밀집 + 업무지구
|
2
|
9호선
|
3억 8,500만 명
|
105만 명
|
급행운행 + 강남, 여의도 직결
|
3
|
1호선
|
3억 1,700만 명
|
87만 명
|
수도권 연결 노선, 출퇴근 비중 ↑
|
4
|
7호선
|
2억 8,900만 명
|
79만 명
|
동서 연결 + 부천~강남 동선 수요↑
|
5
|
3호선
|
2억 5,600만 명
|
70만 명
|
강남·경복궁·일산 연결 핵심 노선
|
6
|
6호선
|
1억 9,200만 명
|
53만 명
|
홍대·망원 등 문화·생활 동선
|
7
|
8호선
|
1억 7,400만 명
|
48만 명
|
송파 암사 천호 등 주거지 연결
|
8
|
5호선
|
1억 6,100만 명
|
44만 명
|
김포공항 ~ 강동 구간, 공항·출근 수요
|
9
|
신분당선
|
1억 1,300만 명
|
31만 명
|
강남판교광교 연결, IT 벨트 이동 중심
|
10
|
공항철도
|
9,200만 명
|
25만 명
|
김포·인천공항 접근 수요 증가
|
역시나 1위는 2호선이었습니다.
아무래도 2호선 라인이 길고, 직장인/대학/상가 등
모든 생활 타입에 맞게 밀집되어 있는 호선이죠.
2위는 9호선으로 역시나 여의도권, 강남권
직장인들이 많이 이용하는 노선이었습니다.
3위도 예상했듯이 1호선으로
전통적으로 경기도권과 서울권, 출퇴근 이슈 등
많은 유동인구를 볼 수 있는 호선입니다.
저는 4위가 의외였는데요^^
7호선 이었습니다.
부천쪽 경기권과 서울을 연결해주고 있고,
최근 신혼부부들이 많이 거주하고 있는 라인으로
동서연결을 해주는 역할도 하고 있는 호선입니다.
<서울 지하철 호선별 특징 정리>
노선
|
주요 지점
|
주요 특징 / 이용 이유
|
특이사항
|
2호선
순환선
|
강남, 홍대입구, 신촌, 서울대입구, 을지로입구
|
- 서울 주요 업무지구와 대학가 밀집
- 환승역 다수(신도림, 사당, 왕십리 등)
- 서울 지하철 중 이용자 수 1위
|
- 혼잡도 최상위 노선
- 배차 간격 단축 시도 지속
|
9호선
급행노선
|
고속터미널, 여의도, 신논현, 김포공항
|
- 급행열차 운영으로 빠른 이동
- 강남 ↔ 여의도 직결로 출퇴근 수요 ↑
- 공항 접근성 우수
|
- 김포·한강 신도시 인구 증가로 수요 급등
- 혼잡 시간대 급행 만차율 90% 이상
|
1호선
광역 연결
|
종로, 청량리, 구로, 인천, 수원
|
- 수도권 연결 광역철도 기능
- 노선 길이 최장 (수도권 포함)
- 출퇴근 수요 집중
|
- 이용자의 약 60%가
수도권 거주자
- 일부 지상구간 노후
차량 비율 높음
|
7호선
동서 연계
|
건대입구, 이수, 부천, 노원
|
- 주거지(부천, 노원) ↔ 업무지구(건대, 강남) 연결
- 부천 연장(석남역 등) 개통 이후 이용자 증가
|
- 혼잡 시간대 배차 확대 예정
- 군자~석남 연선 중심 거주 인구 확대 중
|
3호선
업무 + 관광
|
경복궁, 압구정, 고속터미널, 일산, 대화
|
- 역사문화지구(경복궁) + 강남 업무지구 연결
- 일산 주민의 서울 진입 핵심 루트
|
- 관광객 + 직장인 혼합 노선
- 일산~서울 통근 수요
안정적 유지
|
<통계 변화의 원인 분석>
1. 출근 회복 & 오피스 출근 전환
- 2024년부터 재택근무 축소 및 오피스 회귀 확산 → 2호선·9호선 수요 급등
2. 신도시 개발 및 입주 본격화
- 위례·마곡·김포한강·하남미사 등 신규 주거지역 입주 → 5호선·9호선·8호선 이용 증가
3. 여행 수요 회복
- 공항 이용자 수 증가 → 공항철도 및 9호선 김포공항역 이용자 수 회복세
4. 대학 캠퍼스 정상 운영
- 주요 대학가 노선(2호선, 6호선 등) 이용자 수 회복 → 신촌·서울대입구 등 혼잡도 ↑
5. 자전거·전동킥보드 대체 감소
- 2023년까지 활발했던 퍼스널 모빌리티 사용률 감소 → 지하철 선호 재증가
공통적으로 다양한 기능을 갖춘 지역들이
몰려있는 호선들의 증가가 눈에 띄었고,
어떻게 보면 당연한 거 같기도 하구요^^
원래 기본적으로 수요가 많았던 호선들이
당연히 증가폭도 더 크게 된 거 같습니다.
지하철도 부동산이나 기업들의 부지와도 관련이 있을 거 같구요.
정말 출근하기 싫어서 찾아봤던
2024년도 지하철 이용자 수 통계 어떠셨나요?ㅎㅎ
재밌는 수치도 확인했으니 이제 출근해봐야겠죠?^^
그럼 다음에 더 재미난 통계로 돌아오겠습니다.